공감은 상대의 감정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밑바탕이다. 동물행동학자인 프란스 드 발(Frans de Waal)은 『공감의 시대』에서 공동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모든 사회적 가치는 공감 본능에서 비롯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지난 4월 18일 블루메미술관에서 열린 ‘관객의 재료’는 이 공감 본능에 집중해 관객과 작가 사이에 오가는 감정의 교류를 다룬 전시다. 특히 관객의 생물학적 본성에 주목하며 인간의 공감 본능이 작동하는 지점인 ‘재료’에 주목했다.
모든 작품은 재료로 구성되기 마련이다. 물질적인 것, 언어적인 것, 순간적인 것에서 항구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다. 작가에게 선택된 재료는 서로 접합되고, 어떤 이야기와 얽히고, 추상적 구조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되어 작품이 된다. 그런데 관객의 재료 전은 이외에도 또 다른 재료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소통을 전제로 만든 작품에서 작가는 사실상 다른 재료도 쓰고 있다. 그것은 부피도 없고, 형태도 없고, 측정 가능한 범주도 없다. 어떻게 고정할 수 있는지, 얼마큼 소진되고 발현되는지 예측할 수 없다. 바로 관객이 들여오는 재료다.” 작가는 관객의 존재를 제로에 두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청자 또는 화자의 위치에 올려놓으며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관객을 재료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실제 전시는 상담 전문 기관인 ‘그로잉맘(growing mom)’의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의 전제는 그가 가진 ‘재료’의 차이”라는 말에서 촉발되기도 했다. 그로잉맘은 이번 전시를 함께 기획하며 관객이 작품을 보고 느낀 감정을 다시 작가에게 전달해 창작욕과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과정을 활성화하고자 힘썼다.
전시는 손경화, 우한나, 유비호, 이병찬, 장성은, 정성윤, 조현, 최성임 등 8명의 현대미술가를 초대했다. ‘안개잠’을 선보인 유비호는 현대인의 상실과 고독에 작은 위로를 보내는 작품을 만들어온 작가다. 인어공주를 모티브로 한 안개잠은 한 여인이 바위 위에 주저앉아 바다를 하염없이 바라보는 뒷모습을 영상으로 보여준다. 울고 있는지 웃고 있는지 표정을 짐작할 수 없기 때문에 누구나 자신 혹은 다른 이의 이야기를 쉽게 투영할 수 있다. 특히 거대한 힘 앞에 무력한 인간의 존재,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안타까움 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바위 주변으로 몰아치는 파도 소리는 관객 내면 깊은 곳에 묻혀 있던 상념을 끌어 올리는 효과를 낸다. ...(중략)
* 환경과조경 386호(2020년 6월호) 수록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