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는 한숨의 기술은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전 직장에서 선배 옆에 앉아 모니터를 보면서 뭔가를 배우고 있는데 순간 콧구멍으로 큰 숨이 나왔다. 그때의 나는 숨을 코로 쉬는지 입으로 쉬는지 의식도 못했는데, 별안간 들리는 날카로운 목소리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왜 한숨을 쉬어? 내가 답답해?” 당혹스러움에 반사적으로 튀어나온 “아니 그런 게 아니라요”로 시작하는 말을 횡설수설 늘어놓다 상황은 대충 정리됐다. 이야기가 끝나고 내 자리로 돌아와 진짜 한숨을 쉬었다. 누구에게 들릴까 입이 아닌 코로, 들이마신 숨을 옅게 내보내면서. 그때나 지금이나 숨을 크게 쉰 이유는 명확히 떠오르지 않는다. 만성 비염이라 코가 근질거렸던 걸 수도 있었는데. 어쨌든 한 가지 배운 건 누군가 옆에 있을 때는 때론 호흡도 조심해야 한다는 거였다. 많은 숨을 한꺼번에 확 뱉지 말고 살살, 느리게.
자주 가는 동네 책방을 어슬렁거리다 구석에 놓인 『한숨의 기술』을 발견했다. 책을 두른 띠지에는 ‘임소라의 독립책방 폐업기’라고 쓰여 있었다. 임소라 작가에 대해서는 그가 낸 다른 책을 읽어서 이미 알고 있었는데, 서점을 열었다 망했다는 것과 망한 이야기를 책으로 냈다는 건 몰랐다. 내가 가진 그의 책은 한 도시의 지하철에서 일어나는 이상한 일들을 기록한 것인데, 볼 때마다 너무 웃겨서 적절한 때에 이 지면에 소개해볼까 벼르고 있던 참이었다. 그런데 『한숨의 기술』은 분위기가 많이 달랐다. 제목을 보자마자 한숨에 관한 웃지 못 할 사연이 떠오르기도 했고, 자영업 붐 시대에 무슨 배짱으로 폐업기를 책으로 펴냈는지도 궁금해졌다. 일단 제목의 의미는 한숨을 쉬는 법(technique)이 아닌 한숨에 대한 기술(description)이었다. “책이 안 팔려서, 책을 들여올 돈이 없어서, 책방에 아무도 안 와서, 그냥 막막해서 때마다 코로 마시고 코로 뱉던 한숨을 담배 연기 대신 활자로 담은 글”이라니. 담배 연기는 싫지만 담배 연기 같은 활자라는 표현은 어쩐지 마음에 들었다.
편집자였던 임소라는 직장을 다니던 중 독립출판물을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을 오픈했다. 개업과 동시에 회사 대표님으로부터 우려 섞인 권고를 들었다. 대부분의 회사는 겸업을 금지한다는 점, 업무 효율에 미칠 영향, 판매 사이트 운영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였다. 결국 등 떠밀리듯 퇴사하게 되지만 모든 시작이 그렇듯 머릿속에는 잘 될 생각뿐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수입은 전무하고 모아둔 돈은 금세 동났다. 뒤늦게 연 오프라인 서점도 지속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그는 책방에서의 시간을 이렇게 기록해 둔다. “내가 겪은 책방의 시계는 분침과 시침이 없다. 초침만 있는데 그 초침의 이름이 기다림인 거다. 난 초침 이름이 기다림일 거라곤 상상도 못 했다. 정말이지 그럴 줄은 몰랐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내가 하고 싶어 시작한 일을 궤도에 올리지 못하고 중도 포기하는 경험은 여러모로 쓰라리다. 도와준 주변 사람들에 대한 미안함, 내 선택으로만 이루어진 결정에서 도망쳤기에 실패는 오롯한 내 몫이 된다. 자랑은 아닌데, 망하고 튄 이력이라면 나도 어디서 뒤지지 않을 것이다. 입시, 취업, 인간관계까지 다양하다. 사실 한숨 사건이 일어났던 전 직장은, 졸업 후 탈조경의 모범이 되겠다며 호기롭게 (부모님의 손을 빌려 마련한 보증금으로) 독립까지 하면서 다녔던 곳이다. 과한 열정에 비해 능력도 사회 경험도 인내심도 한참 모자랐던 나는 수습 기간 3개월을 겨우 마치고 달아났다. 안 친한 사람들이 물으면 인턴 같은 거였다고 얼버무리기 바빴다.
『한숨의 기술』은 덮어두고 모른척하고 싶은 시간을, 일이 안 된 이유를 조목조목 따져 사람들이 구경하도록 내놓는다. 책방을 운영할 때의 자신이 얼마나 무모하고 준비되어 있지 않았는지, 콘셉트나 운영 방식은 얼마나 모호했는지, 손님을 대할 땐 얼마나 미숙했는지 등을 죽 정리한다. 책방은 망한 채로 남았지만 폐업 후 그가 만든 책들을 보면 이 멋도 없는 무용한 기록이 결국 그 다음으로 나가게 해주는 숨 고르기였다는 걸 알 수 있다. 스스로에게는 더 좋은 책을 만들게 하는 압력이 됐을 테고, 로망을 걷어낸 핍진한 이야기는 누군가에게 필요한 현실적 조언으로, 나 같은 프로 탈주자에게는 소소한 위로의 맛으로 다가왔다. 문득 지난달 진행한 조경협회 40주년 좌담이 떠올랐다. 패널들 사이에 오갔던 회한의 말들, 예전에 부딪혔거나 지금 직면하고 있는 한계를 누군가 슬쩍슬쩍 언급하곤 했다. 언젠가 그런 말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캐물을 기회가 오면 좋겠다.
각주 1. 임소라, 『한숨의 기술』, 디자인이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