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기록과 저장의 힘, 조경 아카이브의 가능성
  • 환경과조경 2020년 11월

lak391(2020년11월호)_웹용-7.jpg

 

먼지 쌓인 창고에 방치된 공공 기록물과 개인의 책상 서랍 속에 묻힌 자료를 발굴해 서울의 공원 이야기와 역사를 다시 쓴다. 국내에선 처음이라 할 수 있는 공원 아카이브 전시, ‘우리의 공원이 개최됐다. 도시경관연구회 보라BoLA가 시정협치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서울의 공원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의 성과물 중 하나다.


첫 전시로 1013일부터 25일까지 서울식물원에서 공공의 기억을 재생하다, 남산식물원이 열렸다. 해방 후 조성된 서울 최초의 공공 식물원인 남산식물원의 조성 및 철거 과정 기록과 시민의 기억을 모아 엮은 이 전시는, 전문적 아카이브와 대중적 전시의 교집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서울숲 이야기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시민의 숲을 기록하다, 서울숲은 시민과 함께 성장해온 서울숲의 시간을 식물, 정원, 사람, 순간의 시선으로 되돌아본다(1027일부터 118일까지). ‘공원의 기록을 발굴하다, 남산공원과 월드컵공원1110일부터 내년 5월까지 온라인 전시로 열린다(서울의 산과 공원 홈페이지와 서울기록원 홈페이지).

 

서울의 공원 아카이브 구축과 우리의 공원전시를 이끌고 있는 도시경관연구회 보라는 2018년에 자발적으로 조직된 조경 연구자 집단으로, ‘2019 공원학개론을 주관하면서 조경 아카이브의 지평을 개척하고 그 가능성을 탐색한 바 있다. 환경과조경은 도시경관연구회 보라를 플랫폼 삼아 활동 중인 연구자 일곱 명을 초대해 특집 지면 공원 아카이브, 기억과 기록 사이를 구성한 바 있다(20203월호).


이 특집이 전하듯, 조경 아카이브는 도시와 경관이라는 대상이나 사건의 진위를 보여주는 가장 일차적인 자료이자 그 기록물의 저장소다. “기록은 기록하는 자의 산물이다. 자의든 타의든 순수하게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어렵고 기록물을 완벽하게 수집하는 것 또한 불가하므로 기록의 불완전함과 왜곡을 피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기록이 의미 있는 이유는 항상 존재한다. 기록의 집적물인 아카이브는 우리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고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진정성에 기반을 둔 두터운 스토리텔링을 구축할 수 있는 토대이며, 과거와 미래와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도 힘을 갖는다”(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


이러한 기록과 저장의 힘을 실험하는 첫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번 아카이브 전시 우리의 공원은 의미를 획득한다. 서울기록원, 중부공원녹지사업소, 서울시 통합기록관리시스템에 흩어져 있는 방대한 공공 기록물, 그리고 시민 공모를 통해 수집한 민간 자료를 바탕으로 공원에 용해된 도시의 삶과 문화를 다시 직조해낸 것이다. 클릭 한 번으로 1857년의 보고서와 도면에 접근할 수 있는 뉴욕 공원휴양국의 센트럴파크 아카이브나 24,000점이 넘는 옴스테드의 글, 도면, 사진, 서신, 전기를 디지털로 구축한 미국 의회도서관의 옴스테드 아카이브에 비하면 초보적 단계지만, 도시경관연구회 보라의 노력이 수집과 소장을 넘어 공유와 소통을 지향하는 조경 아카이브 연구로 계속 확장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2022년은 한국 제도권 조경 직능(profession)과 학제(discipline)5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다. 마침 같은 해 가을에는 광주에서 세계조경가협회IFLA 총회와 학술대회가 열리기도 한다. 2022년은 한국 조경을 둘러싼 불안과 피로를 교정하고 조경의 미래를 다시 설계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조경의 시선으로 도시와 경관을 둘러싼 글로벌 이슈를 토론하고 새로운 비전을 세우는 무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학회가 중심이 되어 한국 조경의 지난 50년을 촘촘히 기록하고 꼼꼼히 저장하는 체계적인 아카이브 작업에 나서야 한다. 지속 가능한 공유와 소통은 기록과 저장의 진정성에 달려 있다.


한국 조경이 쉰 살이 되는 해에 환경과조경은 창간 40주년을 맞는다. 20218월호는 통권 400호이기도 하다. 19827월부터 단 한 차례의 결호도 없이 달려온 환경과조경, ‘한국 조경의 문화적 성숙을 이끄는 공론장’, ‘조경 담론과 비평을 생산하고 나누는 사회적 소통장’, ‘동시대 세계 조경의 보편성과 지역성을 수용하고 발굴하는 전진기지라는 세 가지 비전을 지향해 왔다. 곧 통권 400호를 맞이하는 환경과조경은 매달 정보를 전하고 담론을 나누는 한 권의 전문 잡지일 뿐 아니라 한국 조경의 최전선의 충실한 아카이브라는 역할을 새롭게 설정한다. 한국 조경의 다음 50년을 설계하기 위한 필요조건은 곧 지난 50년의 성과와 한계를 충실히 기록하고 저장하는 일이라는 점을 새삼 깨닫는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