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모던스케이프] 도시 균열의 시작, 전차 노선이 만든 미완의 풍경
  • 환경과조경 2022년 1월

교통에 의한 도시 경관의 균열은 19세기 말 서울에 부설된 전차에서부터 시작된다. 이제 전차는 사라진 지 오래지만, 수백 년을 이어온 도시 경관에 전차가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이 느낀 충격은 상상하기 어렵다.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스스로 황제가 된 고종은 경운궁을 중심으로 제국의 격에 맞는 근대 도시로 전환을 시도했다.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도성 한양에 궁궐과 단묘(壇廟), 성곽을 축성하여 새로운 국가의 출발을 알렸던 것처럼, 대한제국은 황제국으로의 표상을 도시 경관에 실천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대한제국은 혁명에 의한 체제 전복으로 탄생한 국가가 아니었고, 중국에 대한 사대를 극복하려 하면서도 그들로부터 전승 받은 제도를 따르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그뿐 아니라, 대한제국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근대 도시로의 변혁을 이루어야 했기에, 전통적인 지배 구조로서의 황도(皇都)와 무역 등 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근대 도시의 이중적 구조가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을 기준으로 재편된다.

 

경운궁 동쪽에 건설된 환구단과 황궁우가 황제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면, 전차는 근대 도시로의 실천을 보여주는 시설이다. 서대문정거장(지금의 서대문역 일대)에서 시작해 황토현(지금의 광화문사거리)~종로~흥인지문을 지나 홍릉(천장 전 명성황후의 묫자리, 현재 안암동 고려대학교 부근)까지 가는 홍릉선이 먼저 개통되었다. 선로를 부설하여 전선을 놓고 발전기를 돌려 전차가 다니도록 개통한 것이 1899년 5월 4일이다. 우리보다 근대화를 먼저 시작한 일본에 견주어도 결코 늦은 것이 아니었다.1 홍릉선 외에 종로에서 용산까지 이어지는 용산선(1899년 12월 20일), 서대문정거장과 남대문정거장을 연결한 의주로선(1900년 7월 6일), 그리고 마포까지 연결된 마포선(1907년)까지 네 개의 전차 노선이 개통되었다.

 

modern 01.JPG
그림 1. 흥인지문 일대에서 진행된 한성전기회사의 전차 개통식

 

modern 02.jpg
그림 2. 서대문정거장, 1908년 10월

 

modern 05.jpg
그림 3. 대한제국기 전차 선로

  

modern 03.jpg
그림 4. 동대문에서 본 구한말 서울시가

 

 

각주 1. 교토에서는 1895년 1월 31일, 도쿄에서는 1903년 8월 22일에 개통했다.

 

참고문헌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전차』, 서울책방, 2019, pp.28~35.

신경진, “[뉴스 클립] 중국 도시 이야기<4> 황제의 도시 베이징 (하)”, 「중앙일보」 2011년 2월 9일.

 

그림 출처

그림 1. American Street Railway, “The Electric Railway in Corea”, Street Railway Review vol.

IX, 1899, p.534.

그림 2. commons.wikimedia.org/wiki/File:Travelogues;_(1908)_(17).jpg

그림 3.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전차』, 서울책방, 2019, p.16.

그림 4. 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9921

 

 

 

환경과조경 405(2022년 1월호수록본 일부

 

박희성은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중 문인정원과 자연미의 관계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역사 연구자들과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면서 근현대 조경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했다. 대표 저서로 『원림, 경계없는 자연』이 있으며, 최근에는 도시 공원과 근대 정원 아카이빙, 세계유산제도와 운영에 관한 일들을 하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