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팬데믹 이후의 도시 풍경
  • 환경과조경 2020년 10월

lak390(2020년10월호)_웹용-7.jpg

 

바이러스와 동거하는 2020년의 공원, 발 디딜 틈이 없다. 바삭한 바람과 예리한 햇살이 공원에 가을을 채우기 시작하자 공원은 주말은 말할 것 없고 평일 낮과 밤에도 대만원이다. 마스크로 코와 입을 싸맨 인파가 줄지어 걷는 초현실적인 공원 풍경은 훗날 역사 교과서의 한 쪽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공원 이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여러 데이터로도 입증된다. 구글의 코로나19 지역사회 이동성 보고서가 단골로 인용되는 자료였는데, 얼마 전 발간된 카카오 모빌리티 리포트 2020’에도 흥미로운 대목이 많다. 카카오내비에 쌓인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모빌리티 인덱스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월 말 이후 주요 목적지별 방문 순위에 큰 변화가 생겼다. 예를 들어 주말 톱100 관심 지점POI에 을왕리해수욕장(25), 소래포구종합어시장(34), 두물머리(36), 속초관광수산시장(39), 여의도한강공원(48), 광교호수공원(56) 등 야외 관광지와 대형 공원들이 새로 포함된 것이다. 이처럼 코로나19 팬데믹은 도시의 일상과 여가는 물론 이동의 패턴까지 변화시키며 공간 구조와 형태를 재편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90호의 특집 지면 포스트 코로나, 도시의 안녕을 묻다를 통해 환경과조경은 팬데믹과 함께 벌어지고 있는 일상생활, 작업 환경, 공원, 도시의 변화를 두루 짚어보고 다가올 미래의 양상을 조심스럽게 전망해보고자 했다. 조경가, 조경학자, 도시설계가, 도시기획자, 도시학자, 부동산학자, 교통학자, 경영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필자 열아홉 명을 초대했다. 전속 포토그래퍼 유청오는 팬데믹 시대의 공원 풍경을 사진으로 전한다. ‘코로나 일상 탐구로 묶은 지면에서 최지수, 김진환, 정해준, 김연금, 서웊숲컨서번시, 서영애는 짧은 글과 한두 장의 이미지를 통해 재택근무가 가져온 일상의 변화, 뉴노멀이 된 온라인 강의, 설계 방식의 시행착오, 공원 풍경과 사용의 변화상을 담아냈다.

 

뉴노멀 시티스케이프라는 꼭지로 엮은 지면에는 박승진, 이홍인, 조용준, 엘피스케이프, 오현주, 이해인, 홍주석, 민성훈이 참여해 팬데믹 이후의 도시 공간을 전망하거나 상상했다. 민성훈이 전망하듯, 뉴노멀 도시에서 용도의 경계를 허무는 빅블러big blur의 결과가 지금보다 다양성과 효율성이 높은 상태일지, 반대로 어지럽고 불편한 상태일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건 변화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점이다.” 박승진의 의견처럼, “도시 녹색 공간의 확충이 팬데믹의 즉효 약이 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시민들의 지친 심신을 위로하고, 앞으로 우리가 함께 걸어가야 할 길이 어느 길인지, 그리고 이 시대가 추구해야 할 정책 목표의 지향점이 어디를 향해야 할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실천 전략임은 분명할 것이다.

 

조금 더 긴 분량의 에세이 지면은 김충호, 김세훈, 황기연, 신명진, 모종린이 맡았다. 김충호는 코로나 시대의 한가운데에서 우리는 도시의 안녕hello’을 위해 노력해야 할지 아니면 도시에게 안녕(goodbye)’을 고해야 할지 물으며,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한 시대의 도시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생태적 리질리언스(resilience)라는 의견을 피력한다. 김세훈은 올해 4월부터 빅데이터를 분석해 직접 진행하고 있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중교통과 생활 인구 연구의 일부를 공유한다. 감염 공포의 지속이 여러 형태의 도시 격차(urban divide)’를 키울 것이라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황기연은 컴팩트 시티, 언택트 시티, 그린 시티라는 세 가지 시나리오별로 미래의 도시 교통 과제를 전망한다. 신명진은 공원과 공중 보건의 함수 관계를 역사적으로 짚어본 뒤 포스트 코로나 도시에서 재난의 완충 지대로 재조명되고 있는 공원의 가치를 논의한다. 모종린은 동네 중심의 일상을 강조하면서 코로나19와 공존하고 환경과 공동체를 복원하기 위해 필요한 도시 모델은 생활권 도시임을 역설한다.

 

이미 지난 봄부터 코로나 이후의 도시와 건축, 공간 문화에 대한 갖가지 예측이 넘쳐났고, 도시는 코로나 이전으로 결코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진단이 번져나갔다. 익숙한 것들과 결별하고 이제는 뉴노멀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하는 면도 적지 않지만, 유행에 편승한 질러보기, ‘아니면 말고식 주장들이 감염의 두려움 못지않은 피로감을 우리에게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편집부는 이번 특집이 피로하다 못해 어느덧 지루하기까지 한 포스트 코로나 전망을 하나 더 보태는 기획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는 점을 자기 검열 기준으로 삼고자 했다. 석 달 넘게 지면을 기획하고 공들여 필자들을 섭외한 김모아 기자와 윤정훈 기자가 특집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번 특집이 혼란스러운 상황을 좀 더 담담히 바라보게 하고, 소란 가운데 놓치는 중요한 것들을 알게 해줄 수 있기를 바란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