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북 스케이프] 『친화력』과 괴테의 화학 실험 정원
  • 환경과조경 2021년 7월

 

book02.jpeg
게오르크 멜히오르 크라우스(George Melchior Krauss), ‘바이마르 로마식 가옥(Weimar Römisches Haus)’, 1799. 괴테를 후원한 카를 아우구스트 대공의 일름 파크(Park an der Ilm)에 있는 건물로, 괴테는 이 공원을 풍경화식으로 정비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 (그림출처=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Weimar_R%C3%B6misches_Haus_an_der_Ilm@Goethe-Nationalmuseum_(1).jpg)

 

과학 기술 용어를 일상 속에서 쓰는 일은 낯설지 않다. ‘지속가능한 개발이나 회복탄력성’ 같은 예를 들지 않아도당황하면 머릿속 서버가 다운되고저녁이면 스마트폰뿐 아니라 나도 방전된다디지털 세상에는 각종 밈(meme)’이 돌아다니고학기말이 가까워질수록 엔트로피가 증가하면서 방은 점점 더 엉망이 된다그리고 사람 간 성향이 잘 맞아 조화를 이루면 케미(스트리)’가 좋다고 한다마지막 예는 근래 생겼다고 생각했는데놀랍게도 이미 19세기에그것도 대문호 괴테가 소설 친화력(Die Wahlverwandtschaften)(1807)에서 사용했다.1 친화력(affinity), 혹은 선택적 친화력(elective affinity)은 특정 물질끼리 강하게 결합하려는 성질을 뜻하는 화학 개념이다괴테는 사람특히 연인 관계에 이 개념을 도입해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이 관계의 변화에서 정원과 자연은 배경 이상의 역할을 한다.

 

부유한 귀족 에두아르트와 샤로테는 재혼 부부다젊은 시절 서로에게 끌렸지만 각자의 사정으로 다른 이와 결혼한다그러다 둘 다 배우자와 사별하고 우여곡절 끝에 재혼한다동화였다면 이들은 에두아르트의 시골 장원에서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겠지만애틋한 사랑도 일상에서는 담백해지기 마련이다단조로운 시골 생활이 지루해진 에두아르트는 어려움에 처한 친구인 대위를 집에 들일 생각을 한다샤로테는 처음에는 반대했지만곧 기숙 학교에 있는 조카 오틸리에도 집에 들인다는 조건으로 동의한다그런데 막상 네 사람이 함께 있게 되자 상황은 미묘하게 바뀐다. (후략)

 

각주 1.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친화력은 민음사(김래현 역, 2001)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오순희 역, 2013) 등에서 출간되었다.

 

환경과조경 399(2021년 7월호수록본 일부 

 

황주영은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19세기 후반 도시 공원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파리 라빌레트 국립건축학교에서 박사후 연수를 마쳤다. 미술과 조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화사적 관점에서 정원과 공원, 도시를 보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 이와 관련된 강의와 집필, 번역을 한다. 그러는 동안 수많은 책을 사거나 빌렸고, 그중 아주 일부를 읽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