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내가 말이야
가난하고 힘들었던 젊은 시절 갖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살아온 엄주옥 할아버지의 인생 무용담은 20분이 넘어도 도무지 끝날 기미가 안 보인다. 한결같이 왕년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어르신만 벌써 여섯 명째, 슬슬 수업이 산으로 가고 있었다. “어르신, 그때 누구랑 같이 사셨고 동네 이웃들은 어떤 분들이었어요?” 나는 인내심의 한계를 느끼며 그가 살던 동네와 그 시절의 생활사를 듣고 말겠다는 의지로 질문 공세를 펼친다. “그때 동네의 모습이 지금이랑 어떻게 같거나 다른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발표를 하던 할아버지는 질문을 가만히 듣다 한마디로 상황을 종료시켜 버린다. “몰라요. 그런 걸 다 어떻게 기억하고 사나. 그때는 먹고사는 게 급해서 그냥 살았어요.”
서울 북촌의 안국역 사거리와 탑골공원 사이에 있는 서울노인복지센터에서 70대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한 ‘우리동네, 여행작가’ 수업 시간에 있었던 일이다. 자신이 살던 곳 중 가장 애착이 가는 옛집 사진을 가져와 발표하기로 한 날이었다. 총 13강의 수업 중 세 번의 강의를 통해 일상의 공간과 삶의 기억이 마을의 역사라는 것을 열심히 설파한 뒤였다. 네 번째 수업을 기점으로 일상 공간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사라지거나 변한 동네 이야기를 중심으로 수업을 이어갈 요량이었다. 그날 수업이 어려운 시절을 누가 더 잘 이겨내고 살았는지에 대한 인생 자랑 시간이 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내 부족함을 탓하며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어르신들과의 만남
북촌에서 두 해 연달아 연구와 전시, 출판을 진행하다보니(4월호와 5월호 참조) 서울노인복지센터로부터 인문학 강의를 맡아 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기존에 진행한 연구와 결을 같이 하는 강의이면서 동시에 어르신들이 스스로 누구인지 생각해 볼 수 있게 끔 해달라고 요청했다. “어르신들을 20년 가까이 오래 보았지만, 그분들이 누구인지에 대해 한 번도 궁금해한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교육을 의뢰한 담당 사회복지사와 센터장은 내 연구 활동 결과물들을 접하고 든 생각이라며 고백 아닌 고백을 했다.
이 센터는 탑골공원에서 하염없이 시간을 보내는 많은 어르신의 주체적인 삶과 활기찬 노후를 돕는 평생 교육 공간으로, 서울시가 2001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이다. 설립 초기부터 ‘20년째 열정적인 어르신 학생들’이 많이 있는 이곳은 배움에 대한 열정을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수업뿐만 아니라 취미 활동을 위한 기술과 지식을 가르쳐 준다. 글, 그림, 영화 등 각종 아마추어 공모전에서 수상하기도 하는 등 꽤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을 이미 섭렵한 분들이 모여 있는 곳이었다.
정중히 거절 의사를 밝혔다. 나는 인문학자도 사회학자도 아니며, 그저 공간 속 시간의 켜에 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궁금해 소규모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라고 설명했다. 어르신들을 강의실에 모아 놓고 각자의 이야기를 얼마나 깊이 있게 끌어낼 수 있을지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센터의 거듭된 요청과 설득으로 결국 70대부터 90대에 이르는 11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기로 했다. 센터에서 붙여준 수업 제목에 부제를 붙여 목적의식을 뚜렷이 했다. ‘손주들에게 들려주는 우리동네, 나의 시간여행기’, 즉 어르신들이 살던 동네에서의 삶 이야기를 끄집어내면서도 두서없는 옛날이야기가 되지 않도록 전달 대상을 자라나는 손주 세대에 맞추겠다는 의도였다. 이야기할 대상이 명확하다면, 대상의 눈높이에 맞춰 동네의 시간적, 물리적 변화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동안 진행한 연구들처럼 전문 연구자가 제3자 관점에서 이야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 제공자인 어르신들이 주체가 되어 변화해온 동네를 기억하고 자신만의 목소리로 기록하게 만드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연구자는 그저 이 연구를 기획하고 설계하며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할 뿐이었다. 실패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도전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스스로를 다독이며 전의를 불태웠다. 이 호기로운 도전 정신이 좌절과 ‘멘붕’으로 점철되기까지는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지만. ...(중략)
* 환경과조경 386호(2020년 6월호) 수록본 일부
서준원은 열다섯 살부터 대학 졸업 후까지 뉴욕에서 약 10년간 생활했다.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 인테리어디자인학과에서 다양한 생활 공간에 대해 공부했고, 한국인의 주거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SOM 뉴욕 지사, HLW 한국 지사, GS건설, 한옥문화원,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등에서 약 16년간 실내외 공간을 아우르는 디자이너이자 공간 연구자로 활동했다. 한국인의 참다운 주거 환경을 위한 디자인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품고, 다양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 연구를 위해 곳곳을 누비며 ‘공간 속 시간의 켜’를 발굴하는 작업을 긴 호흡으로 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