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충혼탑 추모공원 설계 공모] 청주 360
  • 조경설계호원, 민앤동 건축사사무소
  • 환경과조경 2023년 04월

[크기변환]호 1.jpg

 

대상지는 과거 나라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던 신성한 대제 의식의 공간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참전용사를 기리며 호국영령을 추모하는 장소로 이용됐다. 도시 경관 관점에서 보면 지대가 높아서 도심에서 경관이 가장 먼저 읽히며, 도심에서 시가지를 내려다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도로의 확장 등 도시의 변화로 인해 공간적으로 고립됐다. 대상지를 둘러싼 숲은 경관의 조망을 어렵게 했고, 단차가 높은 지형, 도서관과 충혼탑 사이 도로는 이용자의 접근성을 떨어뜨렸다. 더불어 추모와 같은 특정 행사를 할 때만 사용되고, 주차 공간 등 외부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해 도심으로부터 공간적 고립과 단절이 발생했다.


네 개의 아카이브

추모 공간의 오랜 정체성을 보존하고, 도심에 남겨진 오픈스페이스로서 고립과 단절에서 벗어난 일상적이고 친숙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청주 360은 대상지를 추모 공간 중심으로 360도 열린 경관으로 재구성하며, 시민 친화적 일상 공간을 통해 공공성을 회복한다. 남겨진 자연과 추모의 기억을 담으며 일상 속 친숙한 메모리얼 공간을 만드는 것이 설계 목표였다. 공간은 크게 네 가지 축으로 구성했다. 청주시의 과거, 현재, 미래의 기억과 모습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며 각 구역의 이름에 아카이브를 붙였다.

퍼블릭 아카이브를 통해서 미술관에서부터 문화공원(예정)으로 이어지는 동선에 열린 공공 보행광장을 조성해 대상지 서측의 접근성을 높였다. 그라운드 아카이브는 미술관, 충혼탑, 도서관을 긴 축으로 연결하는 오픈스페이스로 추모공원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했다. 메모리얼 아카이브는 충혼탑 부지에 건축물과 연계한 360도 열린 경관을 제공하는 메모리얼 공간이다. 내추럴 아카이브는 기존의 보존 숲을 활용해 자연을 감상하며 대상지를 둘러볼 수 있도록 만든 동선이다.

 

[크기변환]호 4.jpg
전망데크에서 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열린 경관과 열린 공간

공원 접근 레벨을 낮추고 미술관과 공원을 잇는 동선을 확충해 누구나 쉽고 편하게 방문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용자들은 미술관의 입구에서부터 낮아진 추모 공간을 인지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충혼탑 주변에 조성한 열린 스탠드 공간은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며, 추모 행사 시 엄숙한 제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구조적 프레임과 더불어 공간의 정면성을 드러낸다. 대상지 밖에서도 보일 수 있게 충혼탑의 위치를 재배치해 일종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했으며, 주변 시가지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 데크를 설치했다.

 

시민 친화적인 공간으로 공공성 회복

단차로 접근이 어려운 공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입체적 연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선형의 공공 보행광장을 조성했다. 광장은 대상지의 중심 보행축으로 사직대로와 접한 미술관, 흥덕문화의 집에서부터 공원 진입 편의성을 높인 커뮤니티 스탠드, 도서관 문화정원으로 이어지며 청주 360을 거점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어디서나 공원으로 접근이 가능해 다양한 여가 및 커뮤니티 활동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통합된 프로그램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과 무장애 보행로 등 동선을 조성해 도서관과 미술관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호 8.jpg

 

공공 오픈스페이스의 메모리얼

충혼탑을 중심으로 한 초록의 공공 오픈스페이스는 한국전쟁 참전 호국영령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간일뿐 아니라, 미술관과 도서관을 연결하는 큰 축으로 시민들이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일상적 공간이다. 입구에서 충혼탑에 이르기까지 단차를 두어 일상의 공간에서 추모 공간으로의 전환을 입체적으로 느끼게 했다. 입구에서 인지가 가능하도록 충혼탑의 위치를 이전했고, 시가지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데크 유리 난간 상부에 호국영령의 이름을 타공한 위패를 설치해 새로운방식의 추모를 유도했다. 옛 사직단의 대제 공간을 모티브로 한 360도 구조적 프레임 계획은 과거 사직단이었던 대상지의 장소성을 기억하고 제단 공간이 가지는 경관적 이미지를 부여해 청주 360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명확한 구조적 프레임의 공간은 추모 행사 시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숲 보존과 저밀도 식재

대상지를 둘러싼 기존의 숲을 최대한 보존하고자 했다. 숲속 산책로에는 양호한 기존 수림을 바탕으로 하부 식생을 보완해 건강한 숲으로의 성장을 도모했다. 또한 공간별, 계절별 다채로운 경관 연출을 위한 다양한 수종을 도입했다. 충혼탑 주변의 기존 수림을 적절히 솎아내고 지하고가 높은 소나무를 식재해 조망 경관을 확보했다. 공공 보행광장은 저밀도 가로 녹음 식재로 미술관, 충혼탑, 도서관을 연결성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 인지되도록 했다. 수평적인 공원 시설물과 대비되는 원추형 수종을 활용했으며, 공원의 입구부와 시선이 모이는 주요 결절점의 초점 식재로 입구성과 상징성을 제고했다.


[크기변환]호 5.jpg
단차로 접근이 어려운 공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입체적 연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선형의 공공 보행광장을 조성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