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블라사커 생태 공원
Ecological Urban Park Vlasakker
  • OMGEVING
  • 환경과조경 2025년 6월호
[크기변환]vla 1(메인).jpg
ⒸKarel De Kesel

 

 

블라사커 생태 공원(Ecological Park Vlasakker)(이하 블라사커)은 코르트레이크(Kortrijk)의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의 중요한 생태적 연결축이다. 이 공원은 과감한 정책적 시도가 있었기 때문에 완성될 수 있었는데, 본래 과학 기술 단지 용도로 지정된 대상지의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해 호흐 코르트레이크(Hoog Kortrijk)의 녹색 허파로 만들었다.

 

도심 한복판의 블라사커는 약 17헥타르의 규모로 에티엔 사벨란(Etienne Sabbelaan), 만다흐베흐(Maandagweg), 타르베펠트/클라버펠트(Tarweveld/Klaverveld) 주거 지역, 비베스대학교(VIVES University College), KU 뢰번 퀼라크 코르트레이크 캠퍼스(Leuven Kulak Kortrijk Campus) 사이에 위치한다. 2024년 6월 완공된 공원은 호흐 코르트레이크의 녹색 오아시스로 기능하며 새로 심은 수백 그루의 교관목을 통해 풍성한 녹지 공간을 시민들에게 선사한다. 또한 굽이진 산책로, 다양한 휴식 공간과 놀이 구역은 방문객이 쾌적한 환경에서 편히 쉬고 머무를 수 있도록 유도한다.

 

[크기변환]vla 3.jpg

 

[크기변환]vla 2.jpg
블라사커는 새로운 도시 생태 공원으로서 저류지 등을 활용해 풍부한 녹지 공간을 선사한다. ⒸKarel Debedts

 

원 캠퍼스 모델

블라사커는 생태 공원으로서 대상지의 여러 교육 기관을 위한 녹색 전략의 일환으로 그린 인프라를 구축하는 원 캠퍼스 모델(one campus model)의 토대가 된다. 설계 과정에서 시정부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 협업하는 동시에 워크숍, 프레젠테이션, 설문조사 등을 진행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최종 설계안을 도출했다.

 

기존의 경관과 생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목초지가 풍부한 북쪽의 유서 깊은 농업보호구역과 기존 저류지 인근의 주변 숲을 보존하거나 강화했다. 또한 대상지 내 수로를 보강하고 교목 식재를 통해 다양한 공간을 연출하고자 했다.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여러 협의 과정을 통해 더 발전된 형태의 공원을 만들어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공원은 지역 생태계 발달과 함께 완성도 높은 공원의 기능을 결합했다. 다양한 녹지 공간은 일관성 있는 구조를 만들어내는 투과성 포장 산책로로 연결된다. 여러 휴식 공간이 공원 입구부터 내부까지 곳곳에 배치됐다. 산책로 데크는 다채로운 색감을 선사하는 초지를 가로지르고, 저류지 인근의 목재 데크에서는 수경관을 독특한 시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오랜 시간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이곳에서 서식지를 형성하면 방문객들과 자연 애호가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이다.

 

[크기변환]vla 5.jpg
산책로를 통해 여러 녹지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했다. ⒸKarel De Kesel

 

생태 도시공원의 정체성 강화

생태 녹지 공간 구조의 보존과 강화, 편안한 휴식 공간과 레크리에이션 공간의 결합을 통해 생물 다양성을 확보하고 미래지향적 공원으로서 입체적 공원 경험을 제공했다. 자연 소재를 최대한 활용해 산책로를 투수성 석재로 포장하고, 기존 저류지 산책 데크와 휴게 플랫폼을 팀버 목재로 제작했다. 벤치나 공원 입구 안내판, 자전거 방호벽 등 작은 디자인 요소에도 목재를 활 용했다. 이러한 자연 소재는 생태 도시공원이라는 정 체성을 강화한다. 

 

vla 8(2페이지 풀).jpg
산책로 주위를 감싸는 버드나무 터널은 입체적인 산책 경험을 제공한다.ⒸKarel De Kesel

 

그린 오픈스페이스

블라사커는 코르트레이크의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위한 그린 네트워크의 한 부분을 구성한다. 코르트레이크 지역 내 비서헴(Bissegem)시의 시티그린 겔링크(Citygreen Ghellinck) 생태 공원에도 블라사커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생태 녹지 공간이 마련됐다. 둘 다 동일한 포장 재료와 공원 인프라 요소들을 활용해 설계됐다. 이처럼 시민을 수용하며 디자인적 일관성과 통일성을 갖춘 생태적 공공 오픈스페이스는 자연과 도시의 조화를 꾀하는 도시공원으로 기능하게 된다.

 

vla 10.jpg
ⒸKarel De Kesel

 


글 OMGEVING


Main Assignment Holder Design OMGEVING

Main Works Contractor Roadworks Ockier

Project Partners Hesselteer(Ecologist)

Arborist/Supplier of Plants Boomkwekerij Schepers

Manufacturer/Brand of Pavement Nobre Cal

Manufacturer/Brand or Distributor Street Furniture Grijsen

Manufacturer Water Elements/Fountains Roadworks Ockier

Client City of Kortrijk

Location Etienne Sabbelaan, Kortrijk, West Flanders, Belgium

Area 17㏊

Completion 2024

Photograph Karel Debedts, Karel De Kesel


옴헤빙(OMGEVING)은 건축가, 조경가, 도시계획 및 환경 계획 전문가와 함께 다학제 디자인을 추구하며 회복탄력성이 있는 도시 경관과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마을과 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규모의 복잡한 공간 문제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을 시도한다. 시민들의 생활 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기후 위기에 대응한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연대를 이끌어내며 미래지향적인 해결법을 도출한다. 이러한 지향점은 연구를 비롯한 디자인 전 과정에 담겨 있으며, 끊임없는 자기 성찰을 통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고자 한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