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의 경제학] 정원을 만들까, 주차장을 만들까? Economics of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We Make Gardens or Parking Lots?
    작은 마당에서 시작된 고민 당신에게 자그마한 마당이 하나 있다. 바쁜 일상에 쫓겨 아침저녁으로 허둥지둥 지나치기만 하는 빈 자투리땅이다. 하지만 꽃 피고 단풍 드는 계절이 되면 당신은 항상 이 마당을 정원으로 꾸며보면 어떨까 하고 생각해 왔다. 그리고 지금, 올봄에는 그 계획을 반드시 실천하리라 결심하는 참이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얼마 전 큰 맘 먹고 새 차를 한 대 뽑은 것이다. 아직 시트의 비닐도 벗기지 않은 그 차를 당신은 집 앞 골목길에 세워놓고 있다. 혹여 누가 지나가다 차를 상하게 하지는 않을까, 여간 신경 쓰이는 것이 아니다. 아내는 담장을 헐고 마당에 주차를 하자고 성화다. 마음이 흔들린다. 이 작은 마당에 정원을 만들까, 주차장을 만들까? 누구에게는 쉬운 선택이지만, 다른 누구에게는 매우 어려운 선택일 수 있다. 결정을 내린 후에는 만족할 수도 있지만 크게 후회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성가신 선택을 우리는 매 순간 하고 산다. 당신이 지금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포기하고 이 글을 읽고 있는 것처럼. 선택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정원이나 주차장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자원이 마당만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정원을 만드는 데는 흙, 돌, 식물이 필요하고, 주차장을 만드는 데는 시멘트, 페인트, 자동문이 필요하다. 이런 재료들을 다루는 기술자마저 다르다는 건 말할 필요도 없다. 이것들이 어디에 있는지, 이것들을 사용하기 위해 얼마를 지불해야 하는지, 정원과 주차장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나 많다. 그래도 우리는 결국 선택을 하면서 산다. 한편 시야를 개인이 아닌 사회로 넓히면 선택의 차원이 달라진다. 당신이 사는 동네에 있는 여러 개의 마당 중에 몇 개를 정원으로 만들고 몇 개를 주차장으로 만들어야 하나? 당신이 사는 나라에 있는 수많은 마당 중에 몇 개를 정원으로 만들고 몇 개를 주차장으로 만들어야 하나? 그리고 당신이 사는 이 지구에서는? 마당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정원과 주차장만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하면 문제가 한층 더 복잡해진다. 무언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것들의 근원을 되짚어보면 우리가 가진 자원은 토지, 노동, 자본, 이렇게 세 가지로 환원된다. 우리는 학창 시절에 이것을 ‘생산의 3요소’라고 배웠다. 경제학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러한 자원의 양이 한정적이라는 데 있다. 도대체 우리는 한정된 자원 중 얼마만큼을 정원 또는 주차장을 생산하는 데 사용해야 하나? 당신이 당신의 마당을 원하는 대로 사용하는 것처럼 세상의 모든 자원을 그 소유자가 원하는 대로 사용하면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들이 꼭 필요한 만큼 생산될 수 있을까? (비록 지금은 당신의 마당에 무엇을 만들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지만, 그래도 가끔은)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경제학은 시장기구에 의해 최적의 자원 배분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모든 재화와 서비스가 아무런 방해 없이 자유롭게 시장에서 거래되면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것이다. 경제학이 이를 증명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수요공급곡선을 활용하는 모형을 살펴보자. 느긋한 토요일 아침, 당신은 아까 그 마당을 생각하며 커피를 마시고 있다. 잠이 덜 깬 상태로 즐기는 그날의 첫 커피 한 잔은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쁨이다. 이 첫 잔을 위해서라면 당신은 상당한 대가를 치를 의사가 있다. 첫잔을 비우고 두 번째 잔을 주문한다. 역시 그윽한 내음이 코를 즐겁게 하지만 아까만은 못하다. 그래도 커피는 참 대단한 음료라고 생각하며 잔을 비운다. 이 잔을 위해서도 당신은 상당한 대가를 치를 의사가 있지만 첫 잔만큼은 아니다. 세 번째 잔은 어떠한가? 그리고 그 다음 잔은? 커피를 마시면 마실수록 마지막 잔이 주는 기쁨은 바로 전 잔에 비해 작아진다. 그리고 마침내 돈을 주고는 커피를 더 이상 마시고 싶지 않은 상태에 이르게 된다. 경제학자는 이 당연한 이치를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한계효용이 체감한다’고 표현한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때문에 수요곡선은 <그림 1>과 같이 우하향하는 모양을 띠게 된다.1 공급곡선의 모양은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에 의해 도출된다. 커피 가게 주인의 입장에서는 커피의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마지막 잔에 들어가는 비용이 바로 전 잔에 비해 커진다. 이를 경제학자는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한계비용이 체증 한다’고 표현한다. 한계비용 체증의 법칙 때문에 공급곡선은 <그림 2>와 같이 우상향하는 모양을 띠게 된다.2모두가 알다시피 시장균형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이루어진다. 이 균형점에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얻는 이득을 따져보면 왜 경제학자가 이 균형점을 ‘매우 가치 있는 상태’로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그림 3>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균형점(E)을 보여준다. 많은 소비자와 생산자가 경쟁적으로 거래를 한 결과 당신의 동네에서는 커피가 총 세 잔 소비(생산)되며 그 가격은 3천원이다. 다시 말해서 당신의 동네는 한정된 자원을 커피에 대해 딱 세 잔 소비(생산)할 수 있는 만큼 배분한 것이다. 이제 첫 잔의 효용과 비용을 생각해 보자. <그림 3>의 수m요곡선에 따르면 소비자는 첫 잔에 대해 5천원까지 지불할 의사가 있다. 첫 잔의 한계효용이 무척 크기 때문이다. 반면 공급곡선에 따르면 생산자는 첫 잔을 천원에 판매할 의사가 있다. 첫 잔의 한계비용이 아주 작기 때문이다. 민성훈은 1994년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조경설계 서안에서2년간 일했다. 그 후 경영학(석사)과 부동산학(박사)을 공부하고 개발, 금융, 투자 등 부동산 분야에서 일했다. 2012년 수원대학교로 직장을 옮기기 전까지 가장 오래 가졌던 직업은 부동산 펀드매니저다.
    • 민성훈[email protected] / 수원대학교 도시부동산개발학과 교수 / 2016년02월 / 334
  • [그들이 설계하는 법] 과정 The Way They Design: Process
    이미 지난 호에 언급했지만 나의 특별한 ‘설계하는 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설계할 때 유용했던, 그리고 여전히 도움이 되는 다양한 단상을 공유하고자 한다. 지난 달에는 설계에 있어 ‘문제 제기’와 관련된 단상을 열거했다. 이번 달에는 ‘과정’이라는 넓은 범주에 해당하는 테제를 나열해본다. 각 테제의 개별적 유효성과 적합성은 전적으로 독자의 판단에 맡긴다. 책상다리의 순서 1934년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는 『독서의 ABC』에서 “완성된 후 네 개의 다리를 가지고 똑바로 설 수만 있다면 책상의 네 개 다리 중 어느 다리를 먼저 만들었는 지는 상관이 없다”고 말한다.1 완성된 결과물이 무엇이든 간에 설계, 제작, 시공 작업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의 영역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결과물 사용에 있어 설계 과정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설계 과정, 의도, 순서에 상관없이 완성품은 나름대로의 세계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경험은 전혀 다른 의미 체계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사이즈의 문제 언젠가 홀데인J. B. S. Haldane의 “적합한 사이즈에 대하여”라는 글에서 읽은 『천로역정Pilgrim’s Progress』에 관한 이야기를 기억한다.2 홀데인은 “동물 유형에 따라 적합한 사이즈가 있고 사이즈의 변화는 형태의 변화를 동반한다”라고 말하며 다음 이야기를 한다. 『천로역정』에 등장하는 키가 60피트인 거인은 그리스도인보다 10배나 더 크고 넓고 두꺼워서 그리스도인 무게의 100배, 80~90톤가량이라고 한다. 하지만 자세히 생각해 보면거인의 뼈는 그리스도인의 100배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각 제곱인치당 인간의 뼈가 감당해야 하는 무게의 10배를 감당해야 한다. 인간이 자신의 10배의 무게에 의해 허벅지 뼈가 부러진다는 사실로 유추해 보았을 때 『천로역정』에 표현된 거인은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허벅지가 무너지는 고통을 경험했을 것이라고 홀데인은 이야기한다. 사이즈는 물리와 중력의 문제다. 작은 생쥐가 코끼리와 맞먹는 크기가 되기 위해서는 엄청난 구조·시스템적 변화가 있어야 하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는 표면 장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파리가 물에 빠졌을 때는 표면 장력에 의해 파리의 온 몸이 무력화되지만, 인간의 몸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물속을 빠져나올 수 있다. 모든 물질에는 적합한 스케일이 있으며, 공간도 마찬가지다. 최근 건축, 조경, 도시 분야에서는 생태모방biomimicry 혹은 파라메트리시즘parametricism이라는 개념 아래 유기체적 형태의 모방과 적용에 대한 작업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3 혈구 세포의 구조적 형태를 몇 백만 배 확대한 구조·설치물에서부터 물고기의 비늘에서 착안한 건물 표피 시스템까지, 스케일의 증폭과 적용은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창의적 작업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홀데인이 말한 스케일의 문제는 직설적인 해석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자하 하디드Zaha Hadid 제국의 전도사인 패트릭 슈마허Patrick Schumacher가 전파하는 파라메트리시즘은 파라메트릭 디자인과 디지털 디자인의 직설적·형태중심주의적 해석만을 주창한다. 파라메트리시즘을 의미하는 ‘변수주의’와는 정반대 지역적 특수성과 사이트 변수의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독단적인 유기 곡선 형태의 상품을 신자유주의 글로벌 자본 시장의 스타키텍트starchitect 시스템 속에서 세계 전역에 수출하고 있는 것이다. 슈마허는프라이 오토Frei Otto를 파라메트리시즘의 유일한 선도자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프라이 오토의 업적은 자연의 형태와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새로운 구조 시스템을 해석, 제안, 개발한 데 있다. 그의 건축 구조에 관한 작업보다는 덜 알려진 도시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보면, 나뭇잎의 잎맥 무늬, 거품 패턴의 분석 등 최소거리에 기반을 둔 도시 시스템의 가능성이 실험되었음을 알 수 있다.4 오토에게 형태는 시스템을 담아내는 메커니즘의 발현이었고 목적 대상이 아닌 매체일 뿐이었다. 홀데인의 사이즈에 대한 일화를 통해 우리는 자연의 순수성에 매혹된 형태에 대한 강박 관념을 경계해야 한다. 서예례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의 도시설계와 조경 담당 교수이며, 어반 터레인즈 랩(Urban Terrains Lab)의 디렉터다. 코넬대학교, 바나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뉴욕 시립대학교,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도시설계와 건축을 가르쳤다. 미국 공인 건축사이자 친환경건축 인증제 공인 전문가로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와이즈/만프레디(Weiss/ Manfredi: Architecture/Landscape/Urbanism)에서 프로젝트 건축가로 일하며 시애틀 올림픽 조각공원, 뉴욕 바나드 디에나 센터 등의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2009년부터는 오피스 오브 어반 터레인즈(Office of Urban Terrains)의 디렉터로 다양한 건축, 조경, 도시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에서 건축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 서예례[email protected]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 오피스 오브 어반 터레인즈 디렉터 / 2016년02월 / 334
  • 장항 선셋 워터프런트 랜드마크 다리, 연결 그 이상
    장항의 산업 유산과 재생 충남 서천군 장항읍은 일제강점기에는 쌀 수탈의 전초기지였으나 1960~1970년대에는 장항 철 제련소와 장항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산업의 고도성장을 이끌었던 곳이다. 이후 공장 산업의 쇠퇴와 항구의 이동으로 인해 인구 감소와 노령화 등 전형적인 도시 쇠퇴의 징후를 겪었으나, 최근 장항의 산업 문화유산과 해변 생태 경관이 이 지역의 고유한 자원으로 주목받으면서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장항미디어센터, 문화예술창작공간, 장항스카이워크 등의 새로운 시설이 유치되어 생태·문화·관광 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중이다. 2015년 1월 완공된 장항 선셋 워터프런트 랜드마크(이하 선셋 랜드마크)는 과거의 산업 유산, 새롭게 조성된 각종 시설, 그리고 수변 경관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도시의 명소를 확립하고 장항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계획되었다. ‘장항 선셋 수변 명소화 프로젝트’로 시작된 이 계획의 장소는 구 장항 도선장과 그 주변이다. 이곳은 1930년대부터 군산을 왕복했던 유일한 연락선인 장항선船이 정박했던 곳으로서, 2009년 운행을 종료하면서 과거의 추억을 간직한 채 남겨져 있었다. 하지만 이 지역은 장항에 새로운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소로 다시금 주목받았다. 금강 하구의 풍부한 생태 자원 덕분에그 주변이 현재 각종 어항과 부두로 활발하고, 근거리에 근·현대의 산업 유산이 고루 분포해 있으며, 낙조로 대표되는 경관 자원이 있어 워터프런트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했기 때문이다. 또한 화물철로를 따라 조성된 문화관광공원이 끝나는 지점에 위치하므로, 공원 위쪽에 자리한 국립생태원과 장항미디어센터, 그리고 서측의 구 장항 제련소, 국립생태해양자원관, 송림산림욕장 등이 도보와 자전거 도로로 이어지는 중추가 되어 장항의 새로운 명소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았다. 기본설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성종상 교수 조경 디자인 연구실 실시설계(주)오우재건축사무소(건축), (주)서안알앤디조경디자인(조경), (주)ULP(조명), (주)세일종합기술공사, (주)영진엔지니어링(교량·토목) 설계팀성종상, 김준현, 신하영, 박준성(서울대학교), 김주경, 전엄지(오우재건축), 신현돈, 이장우(서안알앤디), 이연소(ULP), 김상석(영진엔지니어링) 시공(주)에스엔티건설 발주서천군 공공시설사업소(구 미래전략사업단) 위치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301 일대 면적10,000m2 완공2015. 1. 27.
    • 김준현[email protected] / 서울대 GSES 성종상 교수 연구실 + 오우재건축 + 서안알앤디 + 세일종합기술공사 + 영진엔지니어링 + ULP / 2016년02월 / 334
  • 도원지 수상보행교 다리, 연결 그 이상
    이 프로젝트는 영남대학교 조경학과에 교수로 재직할때 진행한 대구 달서구 로하스벨트 조성 연구 프로젝트를 뿌리로 삼아 시작되었다. 로하스벨트란 달서구의 산이나 강, 저수지를 따라 다양한 도시 경관을 감상하며 쾌적한 보행로를 걷게 하는, 사람을 위한 힐링 프로젝트다. 도원지는 계절마다 다른 빛깔의 경관을 보여주는 산들이 저수지를 감싸고 있어 녹색길을 걷는 사람들을 유혹하는 곳이다. 특히 도원지 서편의 기암절벽과 오래된 숲의 모습이 짙푸른 물에 담겨 동편 길에서 바라보면 가슴을 설레게 한다. 수상보행로는 대구 남쪽의 대표산인 앞산을 따라 걸어오던 사람들과 도원지 및 월광수변공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아름다운 수 경관을감상하며 다음 녹지 길로 갈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다. 기암절벽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동편의 밭과 물의 경계를 따라 조성하여 기존 수변 경관의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구상했다. 디자인이 아닌 기능과 단순한 경관을 꿈꾸며 이 아름다운 경관에 새로운 무엇을 더한다는 것이 참힘들었다. 그러나 수변을 따라 걸어가는 길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새로우면서 낯설지 않은, 그러나 사람들이 계속해서 찾고 싶은 독창적인 디자인이라는 모순된 목표를 위해 기나긴 여정을 걸었다. 가장 큰 관심과 사랑을 기울였던 곳은 동편 밭두렁을 따라 수변에 오랫동안 살아온 풀과 나무들이었다. 수경관과 기암절벽의 숲 경관도 뛰어나지만 소외되고 관심 없는 길을 따라 오랫동안 그곳을 지키며 수변의 아름다움을 더했던 그 식물들이 나를 설레게 했다. “그래, 이 소외되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기특한 식물들을 사람들이 가깝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자.” 마음이 결정되자 보행교의 선은 금방 디자인되었다. 기존 식물이 자라던 수변 경계를 따라 미려한 곡선의 수중교 선이나타났다. 주동선인 수중보행교는 저수지의 보 근처에서 시작해 월광수변공원이 있는 제방까지 약 270m 길이의 곡선 길(탐방로 A)로 만들었다. 사람들이 이 길을 따라 다양한 수변의 식물을 감상하고 한 번씩 서편의 기암절벽 숲 경관을 보며 기쁨을 누리는 공간이 되리라생각했다. 그리고 단순히 그 길을 건너기 위해 걷는 사람 외에 좀 더 도원지를 감상하길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수생 식물과 부유 식물이 자라는 곳에 더 여유로운 곡선의 보행교(탐방로 B)를 붙였다. 앉아서 쉬어갈 수 있는 의자도 마련했다. 난간에 기대어 다양한 식물을 바라보며 관계 맺도록 공간의 스케일을 고려했다. 그리고 일정 구간을 지나면 원형의 수중 쉼터를 만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모여 모든 경관을 감상하고 다양한 행태를 담도록 지름 13m의 원형 광장을 디자인했다. 걸터앉을 수 있는 원형 의자가 오랫동안 사람이 물 위에서 머물도록 유도한다. 보행교는 선이 아니라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디자인 방향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프로젝트명대구 도원지 수변경관개선사업(탐방로) 실시설계 기본구상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최신현(2007) 실시설계씨토포스 설계팀최신현, 김수현, 김은지, 조은옥 시공(주)아트포커스 + (주)보선건설 발주달서구청 공원녹지과 위치대구시 달서구 도원동 840번지 일원(도원지 일대) 면적 탐방로 A: 목재포장 마감+단파론 난간(수상교 L=274m x B2.2m, A=603m2) 탐방로 B: 목재포장 마감+디자인 난간(수상교 L=141m x B2.2~3.5m, A=350m2) 원형광장: 목재포장 마감+단파론 난간(R 6.5m, A=130m2) 완공2015. 10. 최신현은 영남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했고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를 졸업하였다. 영남대학교에서 조교수로재직하였다. 현재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로 다수의 대규모 도시공원과 건축물, 환경조형물 등을 디자인하는 조경건축가로 활동중이며 서울시 건축심의위원, 공공조경가로 활동하고 있다.
  • 뤼흐트신헬 보행교 다리, 연결 그 이상
    로테르담의 중심에 위치한 호프플레인Hofplein은 한때 활기 넘치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호프플레인은 주변 지역과 단절되기 시작했고, 센트럴 역과 베나Weena, 폼펜부르크Pompenburg에 둘러싸인 100,000m2에 달하는 공간이 사각지대로 전락했다. 많은 오픈스페이스가 버려져 방치되었고 비어있는 고층 건물이 늘어갔다. 심각성을 인식하고 책임감을 느낀 로테르담 시의회는 호프플레인을 되살릴 방법을 모색했고, 2011년 시티이니셔티브를 공모하는 등 새로운 사업가와 주민의 참여를 도모하기 시작했다. 당시 로테르담에 사무소를 두고 있던 ZUS는 호프플레인이 다시 활기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2012년 로테르담 국제 건축 비엔날레IABR(International Architecture Biennale Rotterdam)의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테스트 사이트 로테르담Test Site Rotterdam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프로젝트를 통해 18개의 공간을 다리 하나로 엮어내는 뤼흐트신헬Luchtsingel 계획안이 완성되었으며, 이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내가 만드는 로테르담I Make Rotterdam’이라는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했다. 2012년 뤼흐트신헬 계획안은 ‘로테르담 시티 이니셔티브Rotterdam City Initiative 공모’에 당선되었다. 그 후에도 2012년 친환경 건축상Green Building Award, 2013년 베를린 도시 참여상Berlin Urban Intervention Award, 2014년 로테르담 건축상Rotterdam Architecture Award을 받았으며, 2015년에는 황금 피라미드상Golden Pyramid과 네덜란드 건설상Dutch Construction Award의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2012년 3월 공사를 시작한 뤼흐트신헬은 지난 2015년 6월 완성되었다. 공중 운하air canal라는 의미의 뤼흐트신헬은 세계 최초로 크라우드 펀딩에 전적으로 의존해 만든 공공 기반 시설이다. 뤼흐트신헬은 수십 년 동안 서로 떨어져 있던 로테르담 중심지의 세 구역―센트럴 역, 북부 지역, 비넨로테(Binnenrotte) ―을 다시 연결시켜 호프플레인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다리뿐만 아니라 델프트제호프Delftsehof, 다카커Dakakker, 폼펜부르크Pompenburg 공원과 호프플레인 역사의 옥상 공원으로 이루어진 뤼흐트신헬은 호프플레인 경제 성장의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테르담의 중심과 북쪽 지역을 연결하는 390m의 다리는 총 다섯 개의 단계로 건설되었고, 그 길이와 복잡한 구조 때문에 부분적으로 만들어져 조립되었다. 노란 목재로 구성된 다리는 공중에 완벽하게 떠 있어 다리 아래를 지나는 보행자를 방해하지 않으며 최근 재건축된 로테르담 센트럴 역과 역사적 가치를 지닌 라우렌스 크바르티어Laurens Kwartier 지역을 연결한다. ArchitectZUS Project FirmHofbogen BV LocationLuchtsingel, Rotterdam, Netherlands Length390m Project Year2012 ~ 2015 Completion2015. 6. PhotographsOssip Van Duivenbode, Fred Ernst 2001년 엘마 반 복셀(Elma Van Bocel)과 크리스티안 코레만(Kristian Koreman)이 설립한 ZUS(Zones UrbainesSensibles)는 도시와 조경을 다루는 종합 설계사무소다. 로테르담과 뉴욕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현재 프랑스 마르세유의광역 도시 구상, 미국 뉴저지의 뉴 메도랜드 계획,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음악당과 영화관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활동을 펼쳐 마스칸트 젊은 건축가상(Maaskant Prize for Young Architects)을 수상하고 2012년 올해의 건축가(Architect of the Year)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반 복셀과 크리스티안 코레만은 시러큐스 건축 대학(Syracuse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의 초빙 교수로 활동 중이며 뉴욕 시 젠트리피케이션 연구소(Gentrifi cation Lab NYC)를 이끌고 있다.
    • ZUS / ZUS / 2016년02월 / 334
  • 시르켈브로엔 다리, 연결 그 이상
    운하와 도시 생활 수변 공간은 외딴 해변이건 도심의 운하건 낭만적인 공간이다. 사람들은 물가에서 사랑을 속삭이고 샌드위치를 먹으며 사시사철 햇살을 즐기기도 한다. 특히 바다와 연결된 운하는 더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데, 해수면 높이가 우기와 건기를 가릴 것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건물과 보행 공간을 운하 바로 옆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수변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확대되면 수변 공간과 도심 공간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작은 카약이나 카누든 혹은 좀 더 큰 배든 운하에서 바라보는 도심 공간은 완전히 색다르다. 도로보다도 낮은 눈높이에서 바라봄으로써 건축물과 조경 공간을 전혀 다른 관점과 시각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새로운 관점과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도심운하이지만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에겐 건너갈 수 없는 장애물이 된다. 물이라는 공간과 도로라는 공간을 섞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물론 다리를 이용하는 이용자들 중에는 건너편의 공간으로 가기 위해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이용자들이 가장 많기 때문에 그들을 위한 일시적 통행 구간으로 만드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주어진 조건과 예산에서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다리라는 공간 자체를 수변 공간을 즐기기 위한 별도의 특별한 공간으로 디자인하기도 한다. 자전거족과 배를 위한 다리 시르켈브로엔이 위치한 곳은 코펜하겐의 남북을 가로지르는 주요 도로에서 사무실과 주거 지구로 들어가는 분기점에 해당한다. 코펜하겐에서 출퇴근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교통수단은 승용차나 대중교통이 아니라 자전거다. 그동안 크리스티안스하운의 서북쪽 지역에서 코펜하겐 중심부로 자전거로 출퇴근하기 위해서는 운하를 돌아서 가야만 했다. 이 때문에 운하를 가로지르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한 다리를 건설하라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시르켈브로엔이 위치한 운하에 다리를 건설하는 문제는 쉽지 않았다. 먼저 예산의 문제가 있었는데, 그 위치가 부근 주민들이 자전거로 출퇴근하기 위해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이긴 하지만 그 외의 통행량은 아주 많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밀리곤 했다. 다리를 건설할 경우 운하를 지나가는 배들의 통행을 가능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도개교跳開橋처럼 배가 지나갈 때 열리는 다리가 되어야 하는데다가 수변 일대는 코펜하겐의 랜드마크적 건축물과 새롭게 개발한 고급 아파트로 둘러싸여 있어, 다리의 디자인은 이러한 주변 공간과 어울리는 예술성이 요구되고 이는 또한 예산상의 제약으로 표출되곤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리 앞에 위치한 노르데아 은행이 다리 건설을 위한 자금을 출연한 것이 여러 가지 문제를 한 번에 풀 수 있는 출발점이 되었다. 새로운 다리의 디자인은 아이슬란드 태생의 예술가 올라퍼 엘리아슨이 맡았다. 올라퍼 엘리아슨은 많은 아이슬란드 사람들이 그렇듯이 고등학교를 마치고 코펜하겐으로 이주해서 왕립 미술학교에서 공부했다. 현재는 코펜하겐과 베를린에 디자인 오피스를 두고 일하고 있으며, 베를린 예술대학에서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색과 빛 그리고 이들의 대비가 어떻게 주관적으로 받아들여지는지 탐구하고 있다. 대표적 설치 미술로는 스톡홀름, 도쿄 등의 강에 녹색 물감을 풀어 강의 색을 바꾸는 활동Green River(1998~2001)과 런던 테이트 모던 미술관의 인공 태양The Weather Project(2003), 뉴욕 브루클린 다리에 설치한 폭포The New York City Waterfall(2008) 등이 있다. DesignOlafur Eliasson(artist), Studio Olafur Eliasson:Sebastian Behmann (architectural design), RobertBanovi´c(project architect), Jan Bünnig (prototyping) BuilderNordea-fonden(Nordea-fonden has built thebridge as a gift to the City of Copenhagen, which,now is responsible for its operation and maintenance. Nordea-fonden supports non-profi t and charitablepurposes) LocationChristianshavns Kanal, Copenhagen,Denmark Lengtharound 40m Water-clearance Height2.25m Total Length of the Rotating Partaround 25m Construction2012~2015 PhotographsAnders Sune Berg, Søren Svendsen
  • 다리, 연결 그 이상 Bridges, Beyond the Link
    •시르켈브로엔 _ 배준향 •뤼흐트신헬 보행교 _ ZUS •팔로 알토 어도비 크리크 보행·자전거 다리 _ 64노스 •도원지 수상보행교 _ 최신현 •장항 선셋 워터프런트 랜드마크 _ 김준현
    • 김정은, 김모아 / 2016년02월 / 334
  • 한국중부발전 본사 사옥 KOMIPO Headquarters
    이 프로젝트는 충남 보령시에 이전된 한국중부발전의 본사 사옥과 북측의 도시 자연 공원 및 서측 부대시설의 조경을 계획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보령 대명중학교의 폐교 부지로, 북측은 봉황산의 자연환경과 접해있고, 남측은 보령시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경사진 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계획의 목표는 한국중부발전의 기업 비전과 에너지 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반영하여 ‘자연의 가치를 생각하고 자연환경의 활용을 극대화한 사옥’을 만드는 것이었다. 설계 개념은 ‘에너지 힐Energy Hill’로부터 시작했다. 대상지의 가장 중요한 환경인 봉황산의 흐름과 산세를 모티브로 한 개념인 ‘에너지 힐’은 ‘봉황산과 어우러진, 자연을 닮은 또 하나의 봉우리hill’를 목표로 했다. 계획안은 기업의 상징성, 친환경 구현, 주변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했다. 첫째, 대지의 중심에 있는 업무 영역 타워는 봉황산의 기氣, energy가 건물을 에워싸고 있는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조경과 건축의 경계가 없는 유기적인 형태로 계획되어 역동적인 에너지 기업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각층 마다 옥상 정원과 파티오 정원의 녹綠이 건축에 스 며들수 있도록 하였고 봉황산의 산세를 상징화한 특화 휴게 시설물을 배치했다. 조경설계(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조경설계실(이형석, 조동희, 김건영) 건축설계(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윤세한, 김성원(조성요, 안성호, 문준선, 구본 우, 장세환, 백은미, 장기혁, 이주석, 김준, 김현, 이형석, 조동희, 김건영, 최선영, 최원익, 진창환, 박영섭, 김태호, 김상환)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정영균(강우철, 서영대, 유영수) 시공경남기업(주) 협력업체(주)신화에스디지(구조), (주)세진이앤이(기계·소방), (주)원이엔씨(전기·통신·소방), (주)오주엔지니어링(토목), (주)희림건축 인테리어(인테리어),(주)해안건축 BIM팀(BIM), 청연(친환경), HA ENG(커튼월), 소울 컨버젼스(건축음향), 현대적산(견적) 발주한국중부발전(주) 위치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동 460-137 총대지면적28,681m2 녹지면적12,595m2 조경실면적22,397m2 설계기간2011. 05. ~ 2012. 07. 시공기간2012. 11. ~ 2014. 12.
    • 이형석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2016년02월 / 334
  • 쉐르본 커먼 Sherbourne Common
    쉐르본 커먼은 토론토의 워터프런트와 맞닿아 있는 버려진 산업 부지를 전통적인 공원의 개념을 탈피하여 빗물 관리 기술, 경관, 건축, 엔지니어링, 공공 예술 등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탈바꿈시킨 프로젝트다. 토론토의 재개발 워터프런트인 쉐르본 커먼은 신흥 다목적·거주 지구인 이스트 베이프런트 커뮤니티에는 야외 거실과 같은 역할을, 토론토 시민에게는 다용도 도시 공원의 역할을 담당한다. 워터프런트의 다른 공공 공간들과 연결되는 쉐르본 커먼은 호안을 따라 이어지는 산책로와 큰 길이 있는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낸다. 워터프런트와 맞닿아 있는 하나의 촉매 교점으로서 인근의 민간 개발 사업보다 먼저 조성된 쉐르본 커먼은토론토 워터프런트의 재생을 비전으로 삼고 공공 공간의 기능을 가장 우선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공공 공간의 조성이 오래된 산업 지대의 도시 커뮤니티를 새롭게 활성화시키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다. 쉐르본 커먼 인근에는 3,000명의 학생이 다니는 캠퍼스가 생겼으며 다목적·거주 지구가 조성되고 있었다. 따라서 공원은 인근의 거주민, 학생, 직장인 등 다양한 지역 구성원의 관심사와 수요를 담아낼 수 있어야 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 공원 설계의 두 가지 상이한 패러다임을 강조했다. 첫 번째는 어수선한 도시 생활로부터 벗어난 평온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사회적 교류를 위한 시민 참여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 두 가지 아이디어는 공원의 세 공간에 반영되었다. Landscape ArchitectPFS Studio Consulting Local Landscape ArchitectThe PlanningPartnership Pavilion ArchitectTeeple Architects Public ArtistJill Anholt Studio Pavilion Electrical and Mechanical EngineerCobaltEngineering Civil EngineerThe Municipal Infrastructure Group Ltd. Structural EngineerQuinn Dressel Associates Electrical EngineerURS Corporation Canada Inc. Fountain Mechanical Consulting Vincent Helton andAssociates Public Art LightingTripped on Lighting Design Inc. Geotechnical EngineerAlston Associates Ice Rink ConsultantCustom Ice Irrigation ConsultantCIS Irrigation Inc. Construction ManagementEastern Construction General ContractorUCC Group Landscape ContractorAldershot Landscape ClientWaterfront Toronto LocationToronto, Ontario, Canada Area15,000m2 Completion2010(Phase 1), 2011(Phase 2) PhotographsAristea Rizakos, Frederick Moesker, PFS Studio,Tom Arban, Waterfront Toronto
    • PFS Studio / PFS Studio / 2016년02월 / 334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공공 공간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ublic Realm
    2010년,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이하 UBC)는 새로운 설계 지침을 세우고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공공 공간을 재정비하기 위한 과정에 돌입했다. 이후 PFS 스튜디오는 공공 공간 체계와 설계 지침을 준비하고 캠퍼스의 주요 오픈스페이스 디자인을 개선함으로써 캠퍼스의 공공 공간을 강화하고 개조하며 통합하고 연결하기 위해 대학 및 커뮤니티 계획Campus and Community Planning 부서와 긴밀히 협업해왔다. 설계 지침은 보자르Beaux Arts 양식의 균형과 격식이 느껴지는 역사적인 중심 공간은 강화하고, 최근 지어진 캠퍼스 공간에는 현대적인 설계 방식으로 접근했다. 이러한 설계 지침은 커뮤니티의 가치와 그들의 요구를 강조하고 대학의 가치와 우수한 전통을 드러내는것에 목표를 두었다. 지속가능성을 공공 공간에 투영하는 주요한 설계 원칙에 따라 빗물 관리 시스템과 사회적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통합한 UBC만의 특징적인 공간을 설계했다. 이를 통해 일상적인 사교 활동에서부터 특별한 행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임과 유동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활기 넘치고 편안한 야외 공간이 조성되었다. 메인 몰의 재조성은 캠퍼스 재조성의 4대 핵심 사업 중 첫 프로젝트였다. 메인 몰의 기존 보자르 양식은 1914년 국제 설계공모를 통해 계획된 것이다. 메인 몰은 포인트 그레이Point Grey 반도를 진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호그스 백Hog's Back 산맥을 따라 놓였다. 계획에 따라 메인 몰은 모든 방향에서 최적의 시야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메인 몰로부터 배수 시스템이 흐르게 되었다. Landscape ArchitectPFS Studio(University Boulevard,Main Mall, Central Feature, Buchanan Courtyard, BeatyBiodiversity) ArchitectPublic Design + Architecture(BuchananPavillion) Graphic TypePublic Architecture and Communication(Central Feature) Civil Engineer Stantec, Earth Tech, Kamps Engineering,Core Group Consultants Structural EngineerFast + Epp, Read Jones Christoffersen Consulting Engineers, Equilibrium Mechanical EngineerStantec, Cobalt Engineering Construction Management ScottConstruction Group,Syncra Construction Water Feature & Fountain MechanicalVincent Heltonand Associates Ltd.(Buchanan Courtyard), AlohaPools(University Boulevard, Central Feature) Electrical EngineerAcumen Engineering, RobertFreundlich & Associates Ltd., GNEC Flexible Laboratory SystemsMaples Argo Architects Inc. Green Roof SystemSoprema ArboristDiamond Head Consulting IrrigationRod Turkington Irrigation EcologistRaincoast Applied Ecology ClientUBC Properties Trust, Campus and CommunityPlanning Location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rea Buchanan Courtyard: 247m2 University Boulevard + Martha Piper Plaza: 650m Main Mall: 1km Completion Buchanan Courtyard: 2011 University Boulevard: 2013 Martha Piper Plaza: 2013 Main Mall: 2013 PhotographsHover Collective, Krista Jahnke, PFS Studio,Sara Smallenberg PFS 스튜디오(PFS Studio)는 캐나다의 도시설계·계획 및 조경설계 회사로 국내외 다양한 범위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밴쿠버를 기반으로 한 PFS 스튜디오는 지난 30년 동안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해 저비용·고효율의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해왔으며 인상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을 설계해왔다.
    • PFS Studio / PFS Studio / 2016년02월 / 334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