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동과 그 종류들
겨울 추위가 심해지면서 식물들은 더욱 더 깊은 동면에 들어가는 듯하다. 요즘같이 추운 겨울을 긴 시간 동안 견디어내기는 아무리 식물이라도 쉽지 않은 일이다. 날씨가 차가워지며 언뜻 인동 생각이 났다. 식물 이름 그대로 참을 忍자에 겨울 冬자다. 이미 세월이 좀 흘렀으나 모 전직 대통령의 당선과 함께 일약 스타덤에 올랐던 좋은 시절도 있었다.
이름 그대로 인동은 추위뿐만 아니라 열기 등을 견디어내는 내성이 매우 강하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인동종류들은 인동, 털인동, 잔털인동 등이 있으며 붉은인동, 나팔인동, 금선인동 등이 흔히 재배 및 이용되고 자생지에서 다양한 색상과 패턴의 무늬가 있는 종류들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꽃에 어느 정도의 붉은 빛이 도는 인동도 가끔 발견되기도 한다. 인동 종류들은 지구 북반구에 널리 다양한 종들이 분포한다. 다수의 종들이 아름답고 향기가 있는 꽃과 보기 좋은 열매를 이유로 널리 재배되며, 여러 종류의 새와 소동물에게 먹이나 은둔지를 제공하고, 경사지나 뚝 등의 토양유실을 막는데 일조를 하는 생태조경의 좋은 소재로 이용된다.
왕성하게 자라는 덩굴식물로 환경에 대한 내성이 강해 도심 또는 아파트단지 등의 구조물, 벽면이나 입면, 옥상조경, 도로변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훌륭한 조경소재로서 외국에서는 상당수의 품종들이 선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추위에 강하면서도 상록성 또는 반상록성의 성질이 있어 우수한 품종들을 도입하고, 다양한 자생 품종들을 육성하여 사계절 유용한 조경소재로서 널리 이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특성
인동 종류들은 줄기로 주변의 나무 등 지지물을 감고 올라가며 크게 자라는 목본성 덩굴식물로 종류에 따라 얇거나 다소 혁질의 둥근 잎들이 마주 난다. 어린 잎들은 잎 가장자리가 파상으로 비교적 둔한 결각이 있으며 긴 대롱 형의 통꽃은 달콤한 향기가 있다. 인동의 경우는 하얗게 핀 꽃이 질 무렵에는 노랗게 변해서 속칭 금은화라고도 한다. 그 외의 유색의 꽃이 피는 종류의 경우에도 필 때와 질 때 종류에 따라 색감이 변하는 것이 보통이다. 열매는 인동과 같이 검정색으로 익거나 종이나 품종에 따라 노랑색, 주홍색, 붉은색 또는 군청색 등으로 익으며, 일부 종류들의 경우 강하지는 않으나 독성이 있다. 자생지에서는 주로 숲 속이나 가장자리, 강이나 내와 같은 물가의 사면, 마을이나 경작지 주변 등 주로 저지대의 반음지 또는 양지에서 자란다. 건조에도 비교적 강하나 정당한 습기가 있는 곳을 선호한다. 생육이 무척 왕성한 덩굴식물로 수세가 약한 일부 관목이나 소교목을 뒤덮을 수 있을 정도이다. 또한 지피식물로서 넓은 면적을 피복한다. 종자는 조류에 의해 널리 퍼지며, 지면을 기어 땅에 닿는 줄기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퍼져나간다.
(본 고는 요약문입니다)
-
뉴질랜드 네이피어의 케이프 기드내퍼스 골프코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그린매스댐퍼 공법 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산수유나무
산수유는 한자로 山茱萸로 쓰고 석조(石棗), 촉산조(蜀酸棗), 계족(鷄足), 서시(鼠矢), 육조(肉棗), 야춘계(野春桂) 등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수유라는 말은 산수유, 식수유, 약수유 등 여러 이름에 들어가고 있다. 용도는 예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으며, 과실은 사람에게 필요한 강장제로서 많은 혜택을 주는 수종이다. 산수유나무 재배는 대부분 일정지역에 특별한 기술을 소유한 농가에 한하여 재배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농가에서 밭 뚝 또는 울타리나 집안에 한두 그루를 심어 재배 하였다.
꽃은 유달리 미려할 뿐 아니라 봄소식을 일찍 알려주며 여름에는 푸른열매, 가을에는 빨갛게 무르익는 종자가 아름다워 조경수종으로도 가치가 높은 나무라고 할 수 있다.
1. 특성
산수유나무는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수고7m, 직경40cm에 달하며 지리적으로 중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중국으로부터 도입 식재된 것으로 알려 졌으나, 1970년 광릉지역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어 우리자생종임이 밝혀졌다.
생장은 토심이 깊고 비옥 적윤한 곳에서 생장이 좋으며 햇볕을 좋아하나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공해에는 약한 편이고 내한성은 강하며 이식력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난대지방에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이른 봄의 꽃과 가을의 열매가 모두 아름다워 가로수, 정원수로 식재되고 수형은 정형으로 가지가 무성하고 잔가지와 잎이 대생한다.
잎길이는 4~12cm, 잎폭2~6cm로 대생하고 장타원형으로 4~7개의 측맥이 뚜렸하며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잎 뒷면 맥사이에 갈색의 강한 털이 있다. 꽃은 양성으로 3월에 노랗게 피고 산형화서(傘形花序)로 20~30개의 작은 꽃들이 뭉쳐 퍼지며 핀다. 열매는 8월에 빨간 핵과로 익기 시작하여 10월에 완숙한다. 장타원형의 핵과는 길이 1.5~2.0cm로서 광택이 있다.
2. 용도
산수유나무는 동남아 각국에서 예로부터 한약제로 사용하고 있어 그 이용가치가 유망한 수종이며 약용으로는 열매의 핵과중 종자를 제거한 과육을 건조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본 고는 요약문입니다)
-
2007년 달라지는 조경관련 주요 시책 및 제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원만들기(17); 식물 지지울
덩굴성 식물인 포도나무, 등나무, 담쟁이 덩굴, 아이비는 단조로운 벽면을 아름답게 하고 차폐나 그늘을 만들기 위한 효과적인 요소이다. 덩굴식물이 생장을 위해서는 줄기, 꽃, 열매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한데 대표적인 시설이 식물지지울이다.식물지지울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므로 덩굴식물의 특성과 울타리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특히 식물의 무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무거워지며, 생각보다 무겁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아울러 식물지지울의 패턴과 색은 시각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므로 벽이나 주변의 경관과 적절히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도구드라이버, 수평계, 햄머, 망치, 톱, 삽, 렌치, 사다리□ 재료목재기둥 및 판재, 철망, 철선, 못, 볼트, 끈, 말뚝
▷ 식물지지대의 기둥 설치① 식물지지대의 기둥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위치를 결정한다.②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둥의 수직여부를 재확인한다.▷ 격자울의 제작① 식물지지대의 프레임을 짜고 여기에 짜여진 목재 격자망, 대나무 망, 네트 등을 연결하여 격자울을 만든다.
▷ 격자울의 설치① 기둥에 제작된 격자울을 설치한다.
☞ 주의사항① 기둥은 방부처리가 된 목재를 사용하고 목재가 지표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② 격자울은 하중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③ 지지울은 바람에 쉽게 넘어질 수 있으므로 풍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버팀대를 설치하거나 고정해야 한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제1회 한국 환경조경자재 신기술, 신제품 세미나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식재의 위치 및 위치별 지침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석회석 광산 지역의 자연회복과 국내에서의 적용방안(1)
석회석은 화학식이 CaCO3으로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퇴적암이다. 이 석회석은 토건재료의 기본인 시멘트의 주원료로 매우 중요한 자원이며, 철강, 농업, 화공원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석회석의 용도를 살펴보면 철강산업, 시멘트, 일반화학공업, 농업의 비료, 식품 및 의약, 토건산업, 그리고 환경치유제 등이다. 석회석은 주 용도인 시멘트 외에 철강산업에서는 제철에 석회석 괴광이 사용되고 소결이나 탈황제 등으로 석회석이나 생석회가 사용된다.일반공업에서는 탄산소다, 카바이드, 유리, 설탕정제, 도자기, 금속칼슘 및 충전재로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충전재로의 사용이 가장 활발하다. 농업에서는 비료와 토양개량제로 사용되고 식품 및 의약분야에서는 증량제나 희석제 등으로 이용되며, 토건재료 분야에서는 경량기포콘크리트나 팽창·붕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대기환경치유제로 습식탈황공정에서는 필수적인 재료이며, 폐수의 중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한국지질자원연구소 홈페이지). 이와 같이 석회석은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2006년 현재 총 생산량은 시멘트인 경우 생산량이 적은 1월과 2월에는 매월 약 250만톤, 5월과 6월과 같은 소비가 많은 경우에는 매월 약 450만톤 이상을 생산하여 소비하고 있으며, 2005년도의 경우 년간 4,720만톤을 생산하였다(한국양회공업협회홉페이지).과거의 광업은 생산량을 극대화 시키는 부분에 주력하여 환경과 경관에 대한 고려가 많이 부족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변화로 “자연환경과의 공존이 가능한 개발과 조업이 요구되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광산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도 과거의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광물을 채취할 수 있는 곳에서 안전, 비용, 품질, 환경을 모두 고려하는 것으로 바뀌었다.한편 복원은 “훼손된 자연을 훼손되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복원의 대상지는 훼손된 자연이므로 복원이라는 것은 생태적 복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생태적 복원이란 “인간에 의해 훼손된 피해지역을 원래 생태계의 종다양성과 역동성으로 되돌리는 과정”, 또는 “황폐된 곳, 손상 받은 곳, 폐석적치장과 같은 인공조성지역 등에 무엇인가가 자라게 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복원과 함께 사용되는 개념으로는 ‘복구’와 ‘대체’가 있다.
(본 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