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창호 (ch_19@daum.net)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한중일 동북아 3개국은 세계적으로 유래 없는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했지만, 동북아 조경은 세계로 전파되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라는 도전을 받고 있는 현재 한중일 조경분야는 각자의 노하우를 서로 공유하면서 세계로 전파시켜야 한다.”
한국조경학회는 서울정원박람회와 연계해 올해로 16회째를 맞는 ‘한중일 조경 심포지엄’을 4일 오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했다.
한국조경학회, 중국풍경원림학회, 일본조원학회, 서울특별시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조경학회가 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은 ‘도시재생과 조경’이란 주제 아래 ▲공원과 공공공간 ▲정원과 도시 ▲거버넌스와 주민참여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마코토 요코하리 일본조원학회장은 한중일 조경분야의 협력 관계를 보다 탄탄히 다져가며 노하우를 세계로 전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첸 종 중국풍경원림학회장도 3국의 학술지식 공유와 교류에 대해 강조했다.
이 날 세미나에서는 공원, 정원, 주민참여 측면에서 3국의 도시재생 사례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4차 산업혁명, 스마트 시티 등 현대 도시와 조경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향성에 대해 짚어보기도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도시재생에서의 조경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시장은 “공원과 녹지를 넘어 조경은 도시재생과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조경정책 역시 중앙정부와 지자체, 주민공동체가 뭉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돼야 한다”며 도시재생 속 조경의 역할을 강조했다.
최근 마을공동체를 회복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가드닝이 각광을 받는 가운데, 안명준 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는 “현대에 들어 동아시아의 정원문화가 재소환되고 있다”며 “도시 공동체의 활성화, 도시 풍경의 회복, 녹색 인프라 구축 등을 고려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경우엔 개발 사업에 의해 90여 개의 마을이 사라져가고 있어 역사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새로 대두되고 있다. 절강성의 한 마을은 공연문화가 발달한 곳이었지만 쇠퇴해 감에 따라 오페라 가든으로 새롭게 재생해 나가며 마을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조경의 방향성을 살펴보는 자리도 있다. 조세환 한양대 명예교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딩 등의 디지털 기술이 도시에 적용되고 있다"며 "향후에는 도시가 자연처럼 저절로 작동하는 바이오 스마트 시티로 진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자호 라펜트 박사는 도시재생 거버넌스와 주민참여 사업에 적합한 조경융합서비스를 제안하며, 학문으로서 조경정보학의 활성화,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인재육성에 대해 말했다.
한편 한중일 조경인들은 5일에 서울수목원, 마포 문화비축기지, 서울로7017 등을 답사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