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주 (jeremy28@naver.com)
과천화훼종합유통센터 건립추진협의회 관계자는 지난 3일 이 같은 내용의 국민청원이 게재됐다고 9일 밝혔다.
과천 주암지구는 지난 2016년 1월 박근혜 전 정부에 의해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지구로 지정됐다. 현 정부에서는 공공성을 강화한 민간임대주택으로 변경돼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개발사업으로 인해 화훼농가들이 수십 년을 일궈온 터전을 빼앗기고, 산업 축소로 인한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과천화훼집하장은 지난 1989년 5월 ‘남서울 화훼집하장’으로 출범해 30년 이상 대한민국 화훼유통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이곳에는 현재 178호의 화훼 전문매장이 있다. 집하장 주변으로는 500여 호의 화훼 유통인과 200여 화훼농가가 생업을 유지하고 있다.
청원자에 따르면 과천화훼집하장은 연간 1000억 원 이상의 매출과 약 700여 명의 직·간접 고용창출 효과를 낳고 있는 유통단지다. 이곳을 거쳐 전국으로 유통되는 화훼류는 전국으로 퍼져나가며 공판장을 통해 유입되는 물량을 제외하고도 전국의 1300여 농가가 과천화훼집하장의 상인들과 직거래를 통해 화훼상품을 판매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박근혜 전 정부가 뉴스테이로 지정할 당시부터 정권이 바뀐 현재까지도 기존 화훼농가 대책으로는 단지 내에 1만4500평 규모의 화훼종합유통센터 부지를 조성하기로 한 것이 전부다. 화훼부지의 개발은 시행사인 LH가 민간 사업자에게 낙찰가로 공급하도록 돼 있다.
해당 청원자는 “결국 분양가는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곳에서 생업을 유지하던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쫓겨날 수밖에 없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며 “개발로 인해 30여 년간 일궈온 삶의 터전에서 밀려날 생존의 절박한 위기에 내몰리게 됐다”고 호소했다.
아울러 청원자는 “현대화된 유통단지로 개발되고 여기에서 생업을 유지하며 화훼산업을 이끌어왔던 모든 사람들이 재정착해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의 화훼산업을 일으키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며 “정부가 직접 나서 화훼산업 발전의 전략적 방침을 세우고 과천 주암지구 내에 들어설 화훼유통센터가 그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 다른 청원자는 “뉴스테이 공공성 회복은 지역 특화산업을 살리는 일부터다. 과천화훼 문제는 지역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