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주 (jeremy28@naver.com)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서울시가 세종대로 도로공간 재편사업을 위해 베어내려 했던 덕수궁 앞 나무들의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공론장을 마련키로 했다.
23일 서울시는 지난 4일 의회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시청앞 덕수궁 플라타너스 가로수 제거 반대 청원’에 대한 답변을 게시했다.
민원사항은 집행기관인 서울시 조경과에서 검토·처리하고 그 결과를 민원인에게 회신하게 되며, 시의회 해당 상임위원회인 교통위원회에 전달돼 향후 의정활동에 반영된다.
시청앞 덕수궁 플라타너스 가로수 제거 반대 청원과 관련해 서울시 조경과는 “덕수궁 앞 양버즘나무는 기울어진 수형과 수목 고사지로 인한 보행자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 지표부분 뿌리생장으로 인한 덕수궁 담장 균열 및 보도 융기로 인한 보행 불편, 덕수궁 경관 차폐 및 연접한 궁내 수목 피압 등으로 인해 그간 지속적으로 정비 요청이 들어왔던 사항으로 세종대로 사람숲길 사업과 연계하여 정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며 사업의 당위성을 피력했다.
사업 추진을 위해 “내·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자문회의를 거쳐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가로수 심의, 문화재 심의 등 관련 절차를 이행해 이번에 정비하고자 했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하지만 언론과 시의회 청원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반대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시는 답변서에서 “양버즘나무 정비와 관련해 전문가와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한 공론화 과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사업 주관부서인 도시교통실, 가로수 담당부서인 푸른도시국, 사업 시행부서인 도시기반시설본부가 협력해 시민들의 의견에 적극 귀를 기울이며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번에 청원을 접수한 최진우 가로수를아끼는사람들 대표는 청원서에서 “서울시가 세종대로 사람숲길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덕수궁 앞을 수십 년간 지켜온 아름드리 플라타너스(양버즘나무)를 자른다고 한다. 지난 11월 26일 벌목작업을 위한 공사준비에 나섰다가 시민들의 항의로 중단된 바 있다. 그러나 가로수 벌목에 대한 입장은 변하지 않았고 시민의견 수렴 및 공론화가 진행되지 않은 채 또다시 벌목작업을 예정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최 대표는 “이곳의 플라타너스 가로수는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수십년간 우리에게 녹음을 주고, 대기오염과 미세먼지를 막아주고, 덕수궁 돌담과 함께 멋진 단풍과 낙엽이 있는 고즈넉한 경관이 매력적인 곳”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대략 100년 전 플라타너스가 이곳에 심어져 돌담과 어우러지다 1961년 도로확장과 철제담 조성으로 베어졌다. 그 후 1968년에 돌담이 다시 세워지고, 1982년에 돌담을 따라 플라타너스 가로수가 다시 식재되었다”면서 “즉 이곳은 우리와 함께 살아온 근현대역사의 현장이며, 플라타너스 가로수는 시청앞 덕수궁 돌담길의 경관적 정체성이고, 우리를 위해 오랫동안 살아온 생명”이라고 역설했다.
서울시가 제시한 “안전사고, 담장 균열, 문화재 경관 훼손, 보행동선 불편, 주변 나무 생육환경 개선”이란 플라타너스 제거 명목에 대해선 “여태 제대로 된 수목진단 및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아보리스트(수목관리전문가)를 통해 외관을 확인한 결과 1주만 위험하고 2~3주는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나머지는 서울시 가로수 평균 이상의 건강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반박했다.
이어 “균열된 담장은 보수하면 되지만 담장과 어우러진 큰 나무를 없애면 문화경관적 가치는 크게 상실되고 복원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1961년에 플라타너스를 베고 은행나무를 심었지만, 20년이 지난 1982년에 플라타너스를 다시 식재한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40년이 지난 오늘날 다시 나무를 벤다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역사도심재생’을 구실로 작년 창덕궁 돈화문로의 아름드리 플라타너스 가로수를 베었다. 주변 상인들 의견수렴만 했지, 시민들에게 물어보지 않았다. 그리고 이제는 덕수궁 돌담 플라타너스 가로수를 없애려고 한다”면서 서울시의회에 ▲시청앞 덕수궁 돌담 플라타너스 가로수 제거계획·시도 즉각 중단 ▲숙의토론을 통한 시민의견을 수렴하고 공론화과정을 거쳐 결정할 수 있는 자리 마련 ▲서울 도심의 큰 나무·가로수 보전관리에 대한 제도적인 개선방안,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상훈 서울시의원은 청원소개의견서에서 “먼저 플라타너스 가로수가 안전한가하는 것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궁궐의 경관과 안 어울린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며 “도시기반시설본부나 푸른도시국의 설명은 너무도 비과학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또한 “안전성을 검토하는 동시에 시민들이 참여해 의견을 모으고, 방안을 내놓는 공론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공공의 역할은 마치 끼워 맞추듯 내놓은 전문가 의견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참여하는 공론의 장을 만들고, 납득할 수 있는 안전성 검토결과를 내놓는 일이다”며 “나무는 한 번 베고 나면 다시 살릴 수 없다. 베는 일은 가장 나중에 해도 될 일이기에 시청앞 덕수궁 플라타너스 가로수 제거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