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북 스케이프] 정원도시 에도
  • 환경과조경 2020년 10월

book01.jpg

 

이달에 있을 공원 아카이브 전시 자료를 뒤지다 보니 어느새 가을이다. 이렇게 많나 싶을 정도로 곳곳에서 나오는 남산공원 자료 중 선인장 조형물 하나가 연구진의 흥미를 끈다. 남산식물원 조성 초기 거대한 선인장 조형물이 입구를 장식했는데, 상세한 도면과 지침까지 발견된 것이다. 남산식물원에는 유독 선인장이 많았는데 식물원의 철학보다는 기증자의 취향이 반영된 결과다

 

1971년 재일교포 김용진은 자신이 수집한 20817,800본의 선인장과 분재, 철쭉 등을 기증했고, 이는 그대로 남산식물원 2~4호관의 컬렉션이 되었다.1 그런데 왜 선인장이었을까? 김용진이 선인장을 수집하던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의 일본, 이른바 전후 쇼와 시대에 선인장이 크게 유행했다. 원예업자 와타나베 에이지(渡邊英次)가 접목 선인장을 만드는 데 성공한 이래, 선인장은 일본의 주력 원예 산업으로 발달했다. 한국은 1970년대 접목 선인장을 도입했고 이어 1980년대 세계 1위의 선인장 재배 국가가 되었다.2 남산식물원의 선인장 컬렉션, 그리고 집에 있던 월간 원예에 자주 등장하던 알록달록한 선인장에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이 있었다.

 

쇼와 시대의 선인장 유행이 전후 부흥기 사람들의 변덕이려니 생각했다. 독특하고 희귀한 것을 수집해 남들의 부러움을 사는 것은 보편적인 욕망이니 말이다. 그런데 찾아보니 선인장은 꽤 오래전 일본에 전파되었다. 선인장은 일본어로 사보텐(サボテン)이라고 하는데, 이는 비누라는 뜻의 포르투갈어 사방(sabao)’에서 유래한다. 에도 초기의 철학자이자 식물학자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책 야마토 혼조(大和本草)(1709)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기름때를 잘 씻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에도 시대에는 본초강목本草綱目을 토대로 한 야마토 혼조외에도 여러 이론서가 출판되었다. 식물 자체를 다루는 책뿐 아니라 정원과 명승지를 안내하는 도서도 있었다. 18세기 초의 에도(오늘날의 도쿄)는 동시대 런던과 파리를 능가하는 대도시였다. 또 정원이 많기로 유명했는데, 이 넓고 깊은 원예 취미와 정원 문화는 어떻게 형성된 걸까? 이나가키 히데히로稲垣栄洋식물도시 에도의 탄생에서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다.3 ...(중략)

 

각주 정리

1. 방용식, “남산식물원 역사로 남았다’”, 시정일보20061029.

2. 박필만 외, “어서와! 선인장은 처음이지?”, RDA 인터레벵175.

3. 이나가키 히데히로 저, 조홍민 역, 식물도시 에도의 탄생, 글항아리, 2017. 

 

* 환경과조경 390호(2020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황주영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공부하고, 미술사학과에서 풍경화와 정원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19세기 후반 도시 공원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파리 라빌레트 국립건축학교에서 박사후 연수를 마쳤다. 미술과 조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화사적 관점에서 정원과 공원, 도시를 보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 이와 관련된 강의와 집필, 번역을 한다. 그러는 동안 수많은 책을 사거나 빌렸고, 그중 아주 일부를 읽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