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의 서재] 언유주얼
  • 환경과조경 2020년 7월

편서2222.jpg

일하는 존재로서의 밀레니얼 세대에 관한 이야기다. 퇴근은 쟁취해야 하는 대상이고, 퇴사는 더 이상 일생일대의 사건이 아니며, 나쁜 일을 거절하고 거절당해도 다시 일어나는 법을 배워야 살아갈 수 있다.”2 밀레니얼의 일상을 이야기하는 잡지 언유주얼(An Usual)20206월호의 주제는 퇴근, 퇴사, 퇴짜. 노동의 세계에서 멀찍이 떨어져 용돈으로 떡볶이나 사 먹던 시절에는 몰랐다. ‘로시작하는 말들이 이렇게 크게 다가올 줄은. 하루 중 퇴근만큼 설레는 단어가 없고, 이직과 퇴사는 친구들의 근황을 듣는 가운데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키워드다. 퇴짜는 그 자체로는 많이 쓰는 말은 아니지만 일하면서 계속 맞닥뜨리는 일상적 상황이다.

 

단지 책을 좋아하고 남들보다 글을 읽고 쓰는 데 거부감이 덜하다는 이유만으로 잡지 분야에 발을 들였다. 기사 쓰고 교정보는 데 익숙해지기만 하면 될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었다. 한 권에 여러 콘텐츠를 담아야 하기에 다른 사람들에게 글이나 자료를 부탁하는 일이 잦았다. 애석하게도 내 DNA에는 입력되지 않은 철면피 기질이 필요했다. 일면식도 없는 이들에게 친한 척하면서 원고나 인터뷰를 요청하고, 거절당하면 재차 설득을 시도해야 했다. 전문지 특성상 전업 작가가 아닌 본업이 따로 있는 이들에게 약간의 보람과 변변찮은 금전적 보상, 덤으로 두통과 마감의 압박을 주는 글쓰기를 부탁해야 했기에 더 곤혹스러웠다. 말주변도 없어서 청탁 이메일을 쓰는 데만도 필요 이상으로 많은 시간을 쏟았다. 극존칭을 써가며 갖은 명분을 들다가, 좀 비굴해 보여서 담백하게 고쳤다가, 다시 보니 공손해 보이지 않아 또 고치는 비생산적인 활동으로 오전 업무 시간을 날리기도 했다. 그렇게 메일을 전송하면 온 우주의 힘을 빌려 부디 일이 원만히 진행되기를 진득하게 기다리지 못하고 하루에 몇 번씩 수신확인 버튼을 눌렀다. ‘RE: 안녕하세요 환경과조경입니다라는 제목을 보고 들떴다 죄송하지만으로 시작되는 내용에 곧바로 울상이 됐다.

 

언유주얼에는 인터뷰이에게 가상의 설정을 부여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페이크fake 인터뷰코너가 있다. 6월호의 페이크 인터뷰는 언유주얼 편집부의 인터뷰 요청을 거절한 작가가 퇴사 하루 전 시간대에 갇혀 n번의 퇴사날을 경험한다는 내용이다. 분명히 퇴사했는데 다음날 또 출근을 해야 하는 혼돈의 상황이 반복되다, 인터뷰 요청을 수락하자 거짓말처럼 타임 루프에서 풀려난다. 퇴근과 퇴사 퇴짜를 반복하는 작금의 세대의 노동 환경을 단적으로 드러내는설정이라기엔 어딘가 짠했다. 나는 이 대목에서 언유주얼 편집부의 절망과 불안에서 비롯된 간절한 염원을 보았다. 그것은 동시에 나의 염원이기도 했다.

 

특집호를 준비하는 달은 더 잦은 승낙과 퇴짜에 맞닥뜨리게 된다. 어김없이 다양한 거절의 이유가 있었다. ‘자랑하는 것 같아 부담스러워요’, ‘너무 오래전에 했던 작업이라 싣고 싶지 않아요’, ‘요새 너무 바빠서 그거까지 챙길 여유가 없어요등 지난 시간을 다시 떠올리니 콧잔등이 시큰거린다. 아쉽게도(?) 내겐 제안을 승낙할 때까지 타임 루프에 가두는 신묘한 능력이 없다. 그렇다고 마냥 징징대고 있을 순 없으니 그간 지나쳤던 거절의 말들을 다시 꺼내 본다. 귀찮아서 둘러댄 핑계일 수도 있겠지만 재고해볼 만한 이유와 사정도 있지 않았을까. 매달 쌓이는 거절에 매몰되기 보다는 거절하는 이유에 좀 더 기민해지기를. 그래서 다음번엔 좀 더 그럴듯한 제스처로 승낙하지 않고는 못 배길 제안을 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우리의 일상은 매일매일 그 날의 파도를 넘기 위해 바다로 나갔다가 해변으로 돌아오는 일의 반복이다. 우리가 얼마나 허우적거리든지 파도는 지치지 않고 밀려든다. 무언가 죽어가면서 태어나고 있었다라는 문장은 출근과 퇴근, 입사와 퇴사, 승낙과 퇴짜의 반복을 통해 우리가 그저 소진되기만 하는 것이 아님을 말한다. 한 차례의 파도를 타고 돌아왔을 때 오늘 내가 뛰어들었던 바다를 바라보면서 이 사실을 되뇔 필요가 있다.”3 매달 반복되는 기획, 제안, 거절, 승낙, 마감의 사이클을 한차례 지나면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 내 앞엔 자연스럽게 잡지가 놓인다. 여느 때처럼 1일이 되면 나는 막 나온 책을 손가락으로 슬쩍 들춰보고, 곧바로 다음호를 위한 물밑 작업에 들어갈 것이다. 다시 승낙과 거절로 점철될 한 달이더라도 독자, 필자, 편집자 모두에게 더 만족스러운 잡지를 만들기를 바라면서. 무엇보다, 더없이 소중한 나의 월급과 지체 없는 퇴근을 위해.

 

각주 정리

1. 언유주얼, 언유주얼.

2. 김희라, 언유주얼20206월호, p.21.

3. 김유라, “파도 타기: 이제니 아마도 아프리카”, 위의 책, pp.138~141.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