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귀여워할 때만 나를 사용해도 좋아
  • 환경과조경 2021년 2월

닫히지 않던 마스크 상자가 헐거워졌다. 다시 상자를 채워야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지난해의 혼란이 떠올랐다. 금요일마다 약국 앞에 줄을 서고, 방 안에 틀어박혀 달고나 커피를 휘젓고, 벚꽃놀이는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 속 풍경으로 대신했다. 일상이 멈추자 지구가 변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고요를 찾은 브라질 해변에 바다거북이 찾아오고 인도의 한 공장이 기계를 가동하지 않으니 호수에 홍학 떼가 날아들었다는, 그런 소식들 말이다. 그래서 적어도 인간들이 거리를 두고 지내는 동안 동식물들은 행복할 줄 알았다. 어떻게든 살겠다고 발버둥 치는 인간들이 또 무언가를 죽이고 있는 줄은 정말로 몰랐다. ‘생물체 설계공모달빛 파티’(28)가 다룬 맹그로브투구게 이야기다.


맹그로브투구게(이하 투구게)는 아시아 연안에 서식한다. 먹을 순 있지만 살이 적어 인기가 없고, 45천만 년을 견디고 살아남은 만큼 생명력이 강하다. 이렇게 강인한 생물체의 멸종을 걱정하게 된 이유는 그들의 혈액이 세균에 매우 민감한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어 백신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쓰이기 때문이다. 매년 수많은 제약 회사가 수십만 마리의 투구게를 채혈하고 바다로 돌려보낸다. 일정량의 피만 얻고 본래 있던 곳으로 보내준다고 하니 얼핏 평화로워 보이지만, 바다로 돌아온 투구게 중 상당수는 더 살아가지 못하고 죽어버린다.


김정화 박사가 투구게는 갑각류가 아닌 협각류삼엽충을 닮은 생물체라고 설명했지만, 내 눈은 이미 푸르스름한 조명과 달빛을 받아 반짝이는 수면이 만든 신비로운 패널 이미지에 사로잡혀 있었다. 투구게라니, 꼭 투구 모양의 모자를 뒤집어 쓴 꽃게의 모습이 상상되지 않나. 신이 나 인터넷 검색창에 일곱 글자를 적어 넣었다가 펼쳐진 이미지에 소름이 돋은 팔뚝을 열심히 문질러야 했다. 투구게는 꼭 외계 생명체처럼 생겼다. 가오리처럼 납작한 몸체를 가졌는데, 게보다 거미나 전갈에 가까운 생물체임을 증명하듯이 온몸이 딱딱한 석회질 갑각으로 덮여 있다. 긴 꼬리가 달려 있고, 배에는 거미의 다리와 꼭 닮은 다리 여섯 쌍이 나 있다. 징그럽게 생겼다는 감상은 곧 섬뜩함으로 바뀌었다. 제약 회사 연구실의 벽에 투구게를 묶어 놓고 공장처럼 피를 뽑아내고 있는 사진 때문이었다. 투구게를 향했던 시선이 인간의 행위로 옮겨갔고 혐오감이 일었다.


투구게가 보편적으로 귀여워 보이는 외형이었다면 내 생각이 인간의 행동이 혐오스럽다로 빠르게 나아갈 수 있었을까. 아마 투구게를 불쌍히 여기는 데 더 오랜 시간을 쏟지 않았을까. 기리보이의 노래 한 구절이 떠올랐다. 그는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이에게 귀여워할 때만 나를 사용해도 좋아라며 애정을 갈구한다. 노래의 제목은 호구’, 필요할 때 또 귀여워할 때만 날 찾으라는 게 사실 자신을 아무렇게나 내다 버리는 말이라는 걸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할 시절 인간은 동물과 동등한 생물체로 살았다. 하지만 야생동물을 가축으로 삼고 반려동물로 들이는 과정에서, 동물을 보호하고 돌봐야 하는 대상으로 이미지화해왔다. 이제 사자와 호랑이, 곰 같은 맹수들에게도 귀엽다는 표현을 쏟아낸다. 여러 매체와 동물원이 그들을 귀여워하도록 만들었다. 귀여움은 어떤 대상에게 쉽게 마음을 붙이게 하지만, 대체로 내게 해를 끼치지 못하는 무해한 대상에게 느끼는 감정이기도 하다. 귀여워하는 어떤 생물의 삶에는 보통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동물원의 동물들이 어떤 일과를 보내는지 궁금하지 않은 것처럼, 내가 투구게를 파란 피가 흐르는 묘하고 가여운 동물로 바라 보려 했던 것처럼.


또 다른 당선작 파묻힌 땅’(32)을 다시 들여다보았다. 이 작품은 호랑이도롱뇽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대신, 전용 터널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그존재를 느끼게 한다. “도롱뇽의 울음소리, 움직임, 굴을 파는 행동은 소리, 바람, 바닥 패턴, 불빛 등으로 재현되고, 인간은 온몸을 동원해 이를 감지한다.” 생물체 공모가 요구한 것은 인간이 아닌 생물체가 살 수 있는 장소, 구조, 사물, 시스템, 프로세스였다. 그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하는 것은 파묻힌 땅이 제시한 것처럼 생물체의 존재를 어떤 이미지도 씌우지 않고 인식하게 만드는 방법이 아닐까. 물리적 공간은 낡기 마련이지만, 어딘가에 뿌리를 내린 생각과 인식은 점점 자라날 테니까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