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그들이 설계하는 법] 시작
  • 환경과조경 2018년 10월

11이해인.jpg

 

다 시작이 어렵다. 프로젝트도, 회사도, 연재도.

3년 전 이호영과 이해인이 시작한 뒤, HLD201810월 송영민, 박상현, 송주익, 이진선, 신영재, 김주환이 합류한 여덟 명의 그룹으로 성장했다. 3개월간 연재할 그들이 설계하는 법은 이 여덟 명 모두의 설계 이야기를 담고 있다.

 

타임라인

프로젝트에 제약이 많은 것이 꼭 나쁜 일은 아니다. 안되는 걸 배제하고 문제를 해결하다 보면, 꼭 새로운 것을 하려던 게 아니더라도 대상지 고유의 설계가 나오기도 한다. 그렇지 않은 프로젝트는 도통 시작하기가 어렵다. 무엇도 될 수 있다 보니 뭘 해도 근본 없이 느껴진다. 또는 이미 직관적으로 결론을 낸 것이라도 다시 논리적으로 설명해야 할 때가 있다. 발주처뿐만 아니라 설계안을 함께 결정하는 팀 또는 스스로에게도 그런 논리를 피력해야 할 때가 있다. 막막한 순간이다

 

이럴 때 HLD가 자주 찾는 돌파구 중 하나가 타임라인(timeline)이다. 타임라인은 시간 순서로 사건을 나열한 표 또는 그림이다. 연표라고도 하지만 더 넓은 의미가 함축된 탓에 그냥 타임라인이라고 번역한다. 타임라인을 설계에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새로운 시도에 개연성을 부여해 주기 때문이다. 다음 연재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설계의 독창성은 대상지의 장소성에서 가장 강력하게 기인한다. 우리가 왜 이런 설계를 하는지 당위성을 부여하고 개연성을 보태는 것은, 시대별로 왜 각기 다른 일이 일어났는지 그 역학을 이해하고 어떤 변화 추이가 있었는지 알아낸 뒤 이를 현재에 대입하는 과정이다. 이런 통시적(diachronic) 추론을 하는 도구가 타임라인이다.

 

 

HLD02.jpg
Engineering and De-Engineering 그래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홍수 위험과 지속적 지반 침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둑을 계속 높이는 근시안적 방법에서 탈피해, 퇴적 작용으로 땅이 형성되는 자연적 프로세스를 복원하여 강의 담수 용량을 수평적으로 늘려야 한다.

 

Ecology as Industry 산업으로서의 생태’1의 타임라인을 예로 들어보자. 이 타임라인은 해수면 상승에 따라 바 다 밑으로 가라앉을 위기를 마주한 네덜란드의 강 하구 도시를 향해 그동안 의존해 온 공학적 해법에서 탈 피하고 에너지원과 무역 방식을 바꾸라고 말한다. 앞으로 도시 개발을 어떤 방향으로 할까 물었을 뿐인데, 네덜란드의 정체성과도 같은 공학적 방법을 버리라니 황당하리만큼 과격한 주장이다.

 

이런 주장이 가능한 것은 두 개의 타임라인 덕분이 다. 첫 번째 ‘Landscape of the Delta History 강 하구 경관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네덜란 드 역사를 개간, 농업, 경제, 예술, 인물, 지리 등 다양 한 각도에서 살펴 강 하구 지역의 경관이 이 모든 요 소와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두 번째는 ‘Engineering and De-Engineering 공학적 방식과 탈 공학적 방식’ 그래프로, 제방을 쌓는 것과 지반 침하의 관 계, 에너지 소비와 항구의 비대화, 통수 단면 감소의 관계를 연관 지어 보여 준다. 둑을 쌓고 그 안의 이탄 을 채취하고 물을 빼내는 기존 방식은 지반 침하를 일으켜 안 그래도 낮은 땅을 더 가라앉게 만든다. 결국 더 길고 높은 둑이 필요해진다. 

 

한편 무역으로 점차 비 대해지는 로테르담 항구의 성장을 위해 강 하구에 퇴 적되는 모래가 끊임없이 준설되는데, 이는 하구 지역의 1차 홍수 방어선을 없애는 것과 같다. 이 거대한 항 구 대부분은 오일 탱크가 차지하고 있다. 화석 연료는 유한하고 환경 오염과 기후 변화를 가속한다. 이곳은 해수면 상승뿐 아니라 집중 호우와 도시화로 인한 투수 면적 감소로 강 범람의 위협도 받고 있으니, 화석 연료의 이용과 유통을 위해 치르는 이 모든 수고로움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내용을 지반 침하의 기작 을 설명하는 그래프에 중첩하고 모래의 퇴적을 새로운 변수로 넣어 지금까지의 추이를 반전시킬 수 있는 액션—항구와 댐을 부수고 인공 섬을 만들어 삼각주 지형을 회복하는 것—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늘 하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때, 타임라인은 순발력 있게 논리와 직관을 함께 활용하는 방식으로 유용하다. 물리적 설계의 범주를 벗어나 국제 경제나 무역과 같이 설계와 다소 무관하 다고 여겨지는 부분까지 함께 생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도 의미가 있다. HLD가 프로젝트에 타임라인을 활용했 던 몇 가지 경우를 소개하고자 한다. 

 

통영 도시재생 

통영 타임라인은 ‘통영 폐조선소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국제공모’2 참가의향서의 첫 페이지에 넣었던 것으로 공모 지침에 대해 우리가 이해한 바를 시각적으로 압축한 것이다. 타임라인의 목표는 우리가 대상지를 충 분히 관심 있게 들여다보았다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 절반, 설계 해법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 절반 정도였다. 

 

타임라인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앞의 사례만큼 강한 상호 관계를 드러내지는 않는다. 통영 워터프런트 경관을 구성했던 주요 이미지 조각들이 엉겨 붙어 있고 조선소의 영역이 길게 펼쳐져 이를 떠받치고 있는데, 선의 두께가 마치 조선소와 함께한 통영 워터프런트의 흥망성쇠 같다. 과거와 미래에 조금씩 등장하는 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흑백으로 표현해 마치 모두 과거의 영화이고 여기에 큰 기대를 거는 건 늦은 일인 듯 한 인상을 준다. 

 

배경으로 배치한 네 개의 지도는 통영 과 항구의 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 주고 도시와 항구의 위기가 분리될 수 없음을 드러낸다. 여기까지가 역사를 긍정하지도 부정하지도 않는 중립적인 타임라인 이라면, 그 옆 통계 자료의 높이 치솟는 인구수와 불안해져 가는 인구 피라미드, 다양한 수치는 위기감을 증폭시킨다. 폐조선소 부지를 설계 대상지로만 보는 눈에서 벗어나 이곳에 살거나 몰려드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 종합적 도시재생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향성을 내포한다. 

 

 

HLD04.jpg
통영 타임라인. 지난 100년간 통영의 바다는 조선업의 비대 성장과 함께 과거의 모습을 잃고 도시민의 일상으로부터 멀어졌다. 조선업이 쇠퇴한 지금, 그 빈자리가 인구, 산업, 주거, 교통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통영의 도시재생은 이러한 특수 상황을 반영하여 지역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타임라인은 방대한 자료 조사와 분석, 시간 순서라는 객관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지만, 인과 관계를 추출하 고 가중치를 주는 과정에서 통찰력과 주관적 해석이 관여하고, 전달 과정에서는 주로 시각적 표현이 직관적 이해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흥미롭다. 

 

벅민스터 풀러Buckminster Fuller의 차트처럼 아주 간결 한 정보와 표현법을 가지고도 현 시대의 역동성과 진보의 기운을 전달할 수 있다. 역사상 최고의 통계적 그래픽이라고 칭송받기도 하는 샤를 조제프 미나르 Charles Joseph Minard의 ‘나폴레옹 러시아 행군 지도’ 타임라인3 은 적절히 추상화된 꺾인 직선, 진격과 후퇴 선의 대조, 돌아오는 출발선에서는 정확히 같은 두께 였지만 점차 내려가는 기온과 함께 얇아지는 생존자의 띠로 강한 인상을 남긴다. 한니발의 포에니 전쟁 통계 지도보다 지리적 정보를 많이 생략 또는 왜곡하고 있음에도 더 강한 전달력을 갖는다. 

 

정보를 추출하고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조사를 소홀히 하거나 논증을 게을리하면, 주관이 개입해 논리적 비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타임라인은 분명 어느 설계에서나 만병통치약처럼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아니다. 쓸모가 있다 하더라도 제대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찾아내고 검증할 것이 많아 늘 시간에 쫓기는 설계 작업에서 차분히 타임라인을 만드는 것은 사치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설계 초반 작업부터 분야를 아우르는 협업을 통해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는 듯한 분석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임라인이 제시하는 방향의 개연성만 택할 뿐, 그 외의 타당성은 공시적synchronic 측면에서 대상지를 이해하고 설계를 풀어 나가야 한다.

 

 
HLD07.jpg
노들섬 타임라인

 

노들섬 

‘노들꿈섬 공간·시설조성(3차) 설계공모’4 의 경우 운영 프로그램과 운영 주체가 정해진 뒤에 공간 설계공모 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섬 상단부는 지침의 요구 사항 을 어떻게 수용하느냐의 문제인 반면, 섬의 하단부에 는 많은 가능성이 열려 있었다. 

 

노들섬 타임라인에서는 이촌 지구가 너른 모래사장일 때부터 교량 건설을 위한 중지도가 되고, 이후 타원형 의 길쭉한 섬으로 변형되고 남겨진 뒤 새로운 공공 공 간으로서의 쓰임을 고민하게 된 오늘날까지의 변천사 를 ‘땅과 물의 관계’와 이에 따른 ‘공공의 이익’이라는 두 측면에 집중하여 조명했다. 치수와 교통 측면만 강 조하다가 사라지게 된 모래톱 경관을 복원하기 위해 섬 하단부의 단단한 경계를 허물어 노들섬의 문화적, 생태적, 기능적 관계가 유연해져야 한다는 점을 암시 했다. 


 

HLD08.jpg
노들섬 마스터플랜

 

마스터플랜에서 섬의 상단부에는 동쪽의 노들숲 보전 지역과 서쪽의 음악 관련 운영 프로그램이 대조적으로 양측에 자리한다. 도시적 파사드 너머로는 잔디 마당 이 있어 하단부의 생태 공원으로 연결된다. 유속이 느려지는 섬의 후미에 자리한 생태 공원은 기존의 콘크 리트 호안 일부를 깨고 물이 드나들 수 있는 자연 습지로 조성한다. 유속을 느리게 하는 구조물을 설치해 밤섬처럼 자연 습지 뒤로 모래톱의 성장을 유도한다. 섬 가장자리를 빙 둘러 연결하는 프롬나드는 북서쪽의 자연 호안 영역과 남동쪽 호안의 도시적 영역을 하나로 엮어 준다. 

 

타임라인에서 제시한 땅과 물의 관계는 마스터플랜뿐 아니라 보고서 전반에 별다른 설명 없이 사용한 1950년대 미 군정 지도 중첩 이미지에서도 반복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원래 모래사장이던 수심이 얕은 곳을 중 심으로 얼어붙은 한강 사진은 절묘하게 옛 지도의 모래사장과 겹쳐진다. 보고서를 마치며 이 사진에 설계 제안을 합성해 우리의 제안이 임의적이지 않음을 보여 주는 에필로그 이미지로 사용했다. 

 

창원 대상공원 

타임라인을 늘 프로젝트 초반에 만드는 것은 아니다. 창원 대상공원의 타임라인은 마스터플랜이 정리되어 갈 때쯤 공모전 제출을 위해 프로젝트 제목과 부제를 정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창원 도심 내 산지형 녹 지인 대상공원의 비전을 설명하기 위해, 뉴욕의 센트 럴 파크를 연상시켜 즉각적인 이해를 돕는 ‘센트럴 힐 Central Hill’을 제목으로 잡았지만 실제 우리 설계 개념 을 설명하는 제목은 ‘인프라스트럭처로서의 공원Park as Infrastructure’이었다. 이 자체가 생소한 개념은 아니 지만 왜 인프라스트럭처여야 하는지, 여기서 이야기하 는 인프라스트럭처가 무엇인지에 대한 명쾌한 설명이 도입부에 필요했다. 

 

인프라스트럭처라고 하면 도로나 상하수도와 같은 기 반 시설이 먼저 떠오르지만, 넓은 의미에서 인프라스 트럭처란 사회나 어떤 조직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기 본적인 물리적·조직적 구조를 말한다. 대상공원은 도시 개발 과정에서 언덕 지형 덕분에 어쩔 수 없이 남겨진 잉여 공간이었지만,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언덕 바로 밑까지 들이차게 된 다양한 프로그램은 이곳이 단순히 도심 내 녹색 허파나 뒷산 산책로일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가치를 지니기를 요구한다. 숲은 단순히 배경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농업·여가·교육·예 술을 적극적으로 담아냄으로써 창원 시민의 삶의 중심이 된다. 

 

숲 고유의 순기능을 보전하면서도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와 맞닿은 곳마다 그곳의 토지 이용, 지형, 동선의 특징을 반영한 접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 대상공원은 프로그램 연계, 물리적 연결, 경험의 연결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연결고리를 만들며 도시의 인프라스트럭처가 된다. 

 

아래의 타임라인은 주어진 대상지의 형태 외에 어떠한 물리적 형태도 직접적으로 암시하고 있지 않다. 집라 인을 탄 사람이나 날아가는 새의 이미지가 개념적이고 감성적인 것임에 반해, 이와 같은 통찰에서 파생되어 나온 프로그램, 물리적 연결, 경험 동선은 대상지에 실 재하는 맥락에 기반을 둔 것이고 마스터플랜에 그대로 드러난다. 

 

 

HLD13.JPG
대상공원은 프로그램 연계, 물리적 연결, 경험의 연결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연결고리를 만들며 도시의 인프라스트럭처가 된다.

 

타임라인만큼 심오하지는 않더라도, 관습적 설계에서 벗어나 ‘그다음은 뭐?’라는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프 로젝트를 시작할 때 사례 연구를 통한 트렌드 분석을 많이 한다. 참고 이미지를 찾거나 스케일 비교를 하는 것 외에, 사례를 시간 순서로 엮어 그 변천 과정을 추 론하거나, 유형별로 분류해 제3의 유형을 찾아내거나, 오늘날의 현안이 무엇인지 찾아낸다. 

 

A 기업 R&D 센터 

중국의 건설 자재 제조 기업인 야샤YASHA의 본사를 설계할 때는 발주자의 요구 사항이 구체적이지 않아 앞으로 한 발 내딛기가 어려웠다가, 효과적으로 사례 를 유형별로 분류한 덕에 빠르게 진전된 적이 있다. 기업 본사 캠퍼스 디자인의 기능은 여러 가지다. 그중 특히 기업의 가치를 외부에 표현하는 방식을 유형별로 정리했다. 기업이 추구하는 바(예: 로레알의 아름다움)를 상 징하거나 기업 브랜드 이미지의 가장 강력한 요소(아디 다스의 세 개의 띠, 신발 끈)를 ‘부서 간 협력’이라는 기업의 운영 방침과 연계해서 동선으로 활용한 사례 등 은유, 환유, 상징 등 다양한 기법이 있다. IBM과 같은 IT 기업의 경우 회로에서 연상되는 모습이 표착되기도 하는데, 두 사례 모두 형태 자체보다는 그런 형태가 가 진 특성을 자기 나름의 목적—선 체계 개선, 사회적 공간 형성 등—에 맞게 활용한 점이 재미있다. 

 

 

HLD17.jpg
A 기업 R&D 센터의 설계 목표 및 다이어그램

 

5년이 흐른 뒤, 위의 다양한 유형은 모두 이전 방식을 보여 주는 사례가 되었다. 기존 사례에서는 ‘상징’이나 ‘브랜드 표현’이 중요했다면, 2018년에 제안하는 본사 캠퍼스의 디자인에서는 인튜잇이나 구글 캠퍼스 비전에서 엿볼 수 있는 것처럼 기업들이 자기 만족적으로 홈페이지에 걸어둔 기업 정신이 아니라 기업 구성원이 만든 하나의 공동체 또는 사회로서의 기업 문화를 드 러내거나 양성하려고 한다. 또 로고를 드러내기보다는 임직원에게 주어지는 혜택을 늘리고 드러내는 데 중점 을 두고 있다. 임직원에게 제공하는 복지의 종류와 수 준에 따라 회사가 얼마나 미래 지향적이고 진취적인지 드러나기 때문일 것이다. 

 

A 기업 R&D 센터를 디자인하면서 이러한 트렌드를 설계 목표의 중심에 뒀다. 라이언 뮬리닉스Ryan Mullenix와 존 메디나John Medina는 설계가 어떻게 사람의 생물학적·경험적 측면에 영향을 주어 이용자의 편 안함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 논하면서, 미래의 오피스에서 조직과 구성원의 건강을 위해 꼭 필요 한 점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1. 조용히 하기-브레인스토밍을 제외하고keep it down-unless brainstorming, 2. 녹음 증가go green, 3. 시각적 휴식 제공seek visual relief, 4. 움직이기get a move on, 5. 생각하며 먹기eat to think. HLD는 이를 다시 1. 자연으로의 접근성access to nature, 2. 선택의 유연함과 결정력flexibility & control, 3. 생산적 놀이positive distraction, 4. 건강과 복지health & wellbeing, 5. 시각적 휴식visual relief으로 재정의해서 A 기업 R&D 센터의 다양한 오픈스페이스에 적용했다. 

 

 

 

HLD19.jpg
여주관광단지수목원 제안. 논리적 전개보다는 개인적 경험, 사소한 관찰, 상세한 상상력을 활용해 공간을 디자인했다

 

여주관광단지 수목원 

수목원을 어떻게 설계할까 하는 고민도 시대별로 변하는 사회적 요구, 기능, 형태에 대한 이야기에서 시작했다. 구체적인 기획 없이 나온 공간 설계공모에서 하나 마나 한 지역적 맥락 분석과 숙제하듯 채워내는 현황 분석은 대폭 줄였다. 제안서 분량의 2% 정도밖에 차지 하지 않지만 기존에 있던 수목원과는 다른 방향을 제시하겠다는 운을 띄우기는 충분했다. 제안서의 첫머리 에 쓴 글을 소개한다. 

 

역사적 고찰: 이탈리아의 약초 정원에서 기원하는 수목원은 사회적으로 중시되는 가치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했고 형태 또한 이에 따라 변화해 왔다. 17세기에는 세계 각국을 탐험하며 획득한 이국적 수종 수집 및 보관을 위한 공간이었고, 주로 초본류를 위한 정원이나 온실 중심이었다. 식물분류학을 중심으로 숲과 식 물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식물 종 다양성 보존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학명이나 종, 속에 따른 배치가 시도되었다. 18세기 이후에는 대중이 이용하는 오픈스 페이스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어 플레저 가든pleasure garden 기능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공원 형태의 수목원이 많이 조성되었다. 현대에는 생태 및 지속 가 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 수목원의 연구 기능이 중시되고 특히 교육 및 전시 프로그램이 강화 되면서 이를 위한 건축물이 강조되었다. 오늘날 수목 원에는 이런 다양한 기능을 고루 담되 차별화를 위해 다양화를 시도하고 있다. 내일의 수목원은 어떤 가치, 어떤 기능을 담아야 할까? 

 

수목원을 단순히 성공적인 관광지로 계획하는 것을 넘어 시대적으로 사회에 필요한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점을 말하고자 했다. 다음은 장 줄리앙Jean Jullien의 삽화와 함께 소통 없이 점점 고립되어가는 개인주의 사회에서 자연과의 교감이 중요하다는 점, 그리고 늘 보던 ‘힐링 산업’ 팔기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 내용이다. 

 

현대 사회 진단: 어느 사회나 점점 개인화되는 경향을 우려했지만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는 IT 기술 발달로 인해 전에 없던 속도로 개인화가 진행 중이다. 각자 고립되어 소통하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개인이 도구화되기 쉽고, 필요에 의해서만 서로 의존하는 사회에서는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이 커질 수밖에 없다. 공동체가 와해된 사회에서는 외로움 같은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힐링이 해법이 되기보다는 산업이 되고, 갖가지 힐링 상품은 곧 유행에 따라 식상해 진다. 이제 지친 도시민에게 자연을 가까이 가져다 주는 것이 해결책이 되던 시대는 지났다. 오지로의 여행도 쉬워진 요즘에는 자연에의 접근성이나 자연 환경의 퀄리티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연이 주는 감성과 감각을 느끼고 잘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연이 중요하다는 교육이나 캠페인도, 형형색색의 꽃과 조명도 충분하지 않다. 자연과의 교감이 어렵지 않고 더 재미있을 수는 없을까? 

체험한다면서 이것저것 번거롭게 하는 유행도 곧 지나 갈 것이다. A 기업 R&D 센터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을 통해 감성적, 감각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 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상상력: 타임라인이 논리적 형태를 빌린 직관이라면 그 반대 선상에 스토리텔링이라는 감성적이고 감각적 인 접근이 있다. ‘감각을 일깨우는 수목원’이라 하여 자칫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을 하나씩 활용한다 는 클리셰로 빠지기 쉬운데, 이는 숲에서 열리는 요가 클래스, 수목원에서 재배한 블루베리 잼만큼 따분한 이야기 아닌가. 그래서 여주관광단지 수목원 제안에서 는 논리적 전개보다는 개인적 경험, 사소한 관찰, 상세 한 상상력을 대폭 활용했다. 숲 속 디스틸러distillery 에서 나만의 레이블을 만들고, 밀리건의 집에 들어가 뱀의 껍질을 엿볼 수 있는 ‘오림’의 이야기가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전개’를 다룰 다음 연재에서 이야기하려 한다(첫 회). 

 

 

각주

1. 이해인·박경탁·신수민 공동 작업, ‘Ecology as Industry’, Delta Competition 우승작, 2010.

2. HLD·이노션·SWA(SF office)·일신건축·평화엔지니어링· 삼일회계법인·이재경(홍익대학교) 공동 작업, 통영 폐조선소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참가의향서, 2018. 

3. 대니얼 로젠버그(Daniel Rosenberg)·앤서니 그래프턴 (Anthony Grafton), 김형규 역, 『시간 지도의 탄생: 고대에서 현대까지 연표의 진화와 역사』, 현실문화연구, 2013. 

4. HLD·일신건축·유은정·정승영·Mingyu Yin 공동 작업, ‘Nodeul, un-plugged’, 노들꿈섬 공간·시설조성(3차) 설계공모 가작, 2016. 

 

  

HLD는 이호영과 이해인이 설립한 조경설계사무소로, 광범위한 분석과 접근 방법을 통해 대상지의 공간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그 장소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인문·사회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끼칠 수 있는 핵심적 해법을 제공한다. 이호영은 고려대학교에서 원예학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했으며, 조경설계서안, 미국 에이컴(AECOM), 오피스 ma(office ma)에서 조경과 도시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해인은 서울대학교와 UC 버클리(UC Berkeley)에서 도시계획을 공부하고 하버드 GSD에서 조경 설계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에이컴과 파퓰러스(POPULOUS)의 샌프란시스코 지사에서 다양한 조경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www.hldgroup.net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