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9 Year NEXT           PREV 03 March NEXT

환경과조경 2019년 3월

정보
출간일
이매거진 가격 9,000

기사리스트

[에디토리얼] 새 광화문광장, 토론은 이제 시작이다
지난 1월 21일, 새 광화문광장 설계공모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을 대표하는 상징적 공간이 겪게 될 변화에 여론이 들썩였지만, 대부분의 보도와 기사는 광장 재구조화의 당위성이나 도시의 미래에 대한 심층 논의보다는 동상 이전, 촛불 무늬 포장, 정부청사 경계와 같은 표피적 문제에만 집중됐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지엽적 논란 덕분에 광장 성형 사업 자체는 기정사실이 되고 말았다. 10년이 채 안 된 광장을 왜 지금 고쳐야 하고 2021년 5월까지 완공해야 하는가. 사업의 근본적인 목적과 과정에 대한 치열한 토론이 생략된 채 정해진 일정대로 광속의 주행을 마친다면, 우리는 또다시 관 주도 졸속 도시 공간을 마주하게 될 뿐이다. 화려한 수사로 가득한 서울시의 선언처럼 “광화문광장이 오는 2021년 차 중심의 거대한 중앙분리대라는 오명을 벗고 역사성을 간직한 국가 상징 광장이자 열린 일상의 민주 공간으로 탈바꿈,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속도보다는 방향, 결과보다는 과정을 지향하는 긴 호흡의 토론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광장 재구조화의 당위성과 목적에 대한 근본적인 재론뿐만 아니라 당선작과 수상작들이 제시한 설계적 해법에 대한 전문적인 토론도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환경과조경』과 같은 전문지는 대중 매체가 소화하기 쉽지 않은 심층 토론의 마당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번 3월호에는 많은 지면을 할애해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의 당선작과 수상작들을 실었다. 이번 설계공모에는 477팀이나 참가 등록을 했지만 정작 70팀(국내는 38팀)만 최종 작품을 제출했다. 역사 도시 서울의 핵심 공간이자 4·19 혁명, 1987 민주화 항쟁, 촛불 시민혁명을 이끌어낸 현대사의 산실이라는 의미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조경가와 건축가는 왜 이 프로젝트를 외면했을까. 이미 기본계획 단계에서 모든 구상이 결정된 공모전, 한 치의 상상력도 허용하지 않는 공모 지침이 새로운 해석에 대한 도전 의지를 접게 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당선작 ‘깊은 표면(CA조경+유신+김영민+선인터라인건축)과 여러 수상작들이 꽉 막힌 설계 가이드라인의 장벽을 지혜롭게 돌파하며 광화문 일대는 물론 서울의 미래 도시 구조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한 점은, 결코 가볍게 평가할 일이 아니다. 세간의 전망과 달리, 조경가가 주도한 작업들이 당선작뿐 아니라 다수의 수상작에 선정된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전문적이고 다각적인 토론의 밑판을 마련한다는 의도로 이번 호 지면에는 이례적으로 다섯 편의 비평을 초대했다. 조경비평가 최정민은 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동인이 정치적 의도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동상, 촛불, 교통 문제를 둘러싼 당선작 논란을 반박한 후 오히려 당선작의 특징은 “한국적 경관의 재구성”을 시도한 데 있다고 해석한다. 건축비평가 전진삼은 “광장의 정치화”에 드리운 부정적 측면을 우려한다. “민주 사회를 관통하는 역사적 경관으로서의 완성품”이 기획자들의 구상이라면 왜 굳이 거대한 광장이 필요한가라는 근본적 의문을 던지며, 광장의 정치화와 그 스펙터클은 공간의 모독이라고 일갈한다. 조경가 이수학은 우리에게는 광장에 대한 합의가 없었고 “누구도 광장을 요구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광장이라는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 작동 가능한 민주주의의 이행을 요구했을 뿐인 시민의 열망과 달리, 광화문 일대의 도시 공간은 “정치적 욕망과 식민의 유산을 벗어나지 못한 관료와 기술자들에 의해 착실하게 개조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조각 전공의 예술기획자 진나래는 동상 이전과 철거를 둘러싼 이슈를 세밀하게 조회한다. 충분한 이해와 토론 없는 여론 몰이를 경계하며 그는, 광화문광장이 동상으로 인해 “소통과 발언의 광장”이 아닌 “권위의 전시 공간”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매체 전문가 박상현은 현재 광화문광장의 핵심 문제는 접근성 부족이 아니라 “그 존재의 이유가 규정되지 않은 공간”이라는 점에 있다고 본다. 광화문광장을 새로 조성하려 한다면 “이곳에 왜 광장이 있어야 하고, 사람들은 여기에 왜 와야 하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광장은 박물관이 아니고, 사람들은 메시지를 들으러 광장에 가지 않는다”는 그의 견해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독자들의 다양한 생각을 공유하고자 올해부터 마련한 꼭지 ‘이달의 질문’에도 광화문광장 설계공모에 대한 여러 의견을 모았다. 작지만 소중한 이 조경 공론의 마당에 담긴 독자들의 의견 또한 광화문광장의 미래를 위한 토론의 토대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새 광화문광장, 토론은 이제 시작이다. 새 꼭지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의 첫 3회분 연재가 이달로 막을 내린다. 나성진 소장(얼라이브어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다음 세 달은 조용준 소장(CA조경)이 이어간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광장은 도시의 그 어느 곳보다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의미와 활동이 교차하는 곳이다. 서울 중심 거리에 자리한 광화문광장은 600년 역사를 간직한 상징적 공간으로, 때로는 국가적 이벤트를 수용하는 축제의 장으로, 때로는 주체적 시민의 힘을 보여주는 장소로 기능해 왔다. 그러나 광화문광장을 둘러싼 차도는 주변 지역 및 보행자와의 단절을 초래했고, 이로 인해 광장은 ‘고립된 섬’, ‘세계 최대의 중앙분리대’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2016년 9월, 서울시는 단절된 광화문 앞 공간을 통합하고 광화문광장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되찾고자 서울 시민과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광화문포럼을 출범시켰다. 2017년 8월부터 약 9개월간 광화문포럼에서 도출된 개선 방향과 원칙을 기반으로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초안을 마련했고, 이를 바탕으로 2018년 10월 12일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를 공고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당선작 깊은 표면Deep Surface CA조경+유신+김영민(서울시립대학교)+선인터라인건축 2등작 수백만의 사람들을 위한 수백만의 장소들Millions of Places for Millions of People 맹필수·김지훈·문동환(MMK+)+유영수(이든도시건축)+ 차태욱(Supermass Studio)+조재모(경북대학교)+김정환(교우엔지니어링) 3등작 반추의 공간 그리고 미래상A Place of Reflection and a Vision of the Future Mladen Jadric(Jadric Architektur) 4등작 데머크래틱 보이드Democratic Void 백건일 5등작 광화문 풍경Beauty of Korean Space 동심원 조경+조경설계 해인+우리동인건축 가작 서울 패치워크Seoul Patchworks 전진현·송민경(Studio MRDO)+박태형 가작 일상과 축제의 불확정성 광장Uncertain Citizen’s Square 김영섭건축문화+선진엔지니어링+진우엔지니어링+DV2C2 가작 공동의 광장Co-square Claudia Ricciardi(TA.R.I Architects)+Marco Tanzilli 가작 작은 광장이 만드는 여러 갈래의 길Many Branches of Road and Smaller Squares 푸하하하프렌즈 가작 숨겨진 역사적 거리Hidden Historical Street Catacombe Architects+최동인(Dinatelier) 발주 서울특별시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67, 1-68 일대 규모 약 126,100m2 광장: 약 61,300m2, 도로: 59,600m2, 세종대로 동측 보도: 5,200m2 공모 범위 사업 범위: 이번 설계공모를 통하여 당선된 설계자가 공사 시행을 위해 실제로 설계하는 구간으로, 현재 광화문광장과 세종대로, 사직-율곡로 등 도로를 포함하여 총면적 약 126,100m2에 달하는 지역(정부청사 및 의정부 터는 제외, 의정부 터는 별도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 계획 범위: 사업 범위와 접한 주변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경복궁 남측 담 장, 남쪽으로는 삼청동천과 백운동천 합수 지점, 동쪽으로는 삼청동천 (현 종로1길), 서쪽으로는 백운동천(현 새문안로5가길)을 포함하는 지역 과, 정부청사, 의정부 터 및 세종대로 하부 지하 공간 구상 범위: 공모안의 구상 배경에 해당하는 공간적 범위(제안자가 자유 롭게 설정) 공사비 약 600억 원(부가가치세 포함) 설계비 약 28억 원(부가가치세 포함) 설계 기간 2019. 2. ~ 2020. 1. 공사 기간 2020. 1. ~ 2021. 5. 공모 방식 일반 설계공모 심사위원장 승효상(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심사위원 유홍준(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유나경(PMA엔지니어링 도시환경연구소 소장) 정욱주(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손기민(중앙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도미니크 페로(도미니크 페로 아키텍처 대표) 아드리안 회저(West 8 대표) 예비심사위원 김영준(서울시 총괄건축가) 시상 당선(1개 팀): 기본 및 실시설계권 2등(1개 팀): 8천만 원 3등(1개 팀): 6천만 원 4등(1개 팀): 4천만 원 5등(1개 팀): 2천만 원 가작(5개 팀): 상금 없음 ※2차 심사에 참여하는 10개 팀에 각 3천만 원씩 추가 비용 지급 자료제공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관리팀 및 수상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깊은 표면
깊은 서울, 지문地文의 지문地紋 땅의 기억은 땅에 흔적을 남긴다. 고려의 남경부터 조선의 왕도를 거쳐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그 천년의 기억이 대상지에 새겨져 있다. 오래된 기억은 짙기 때문에 아래로 향하고, 과거의 시간은 땅 아래 여러 층으로 물화되어 보존된다. 도래할 기억은 옅기 때문에 위로 향하고, 다가올 시간은 땅 위에 삶의 형태로 물화되어 생동한다. 현재는 과거와 미래 사이에 놓인 찰나의 경계이며, 아래와 위의 문지방에 놓인다. 그것이 표면이다. 표면에서 과거의 미래는 현재라는 하나의 평면으로 압축되어 공존한다. 광화문광장은 대상지의 표면이다. 광화문광장의 층위 이념의 깊이: 왕도의 상징에서 식민 통치의 상징으로, 근대화된 국가의 축에서 민주주의의 장으로 광장에 담긴 이념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해 왔다. 광화문광장은 늘 시대의 이상을 반영하는 중심 상징 공간이었다. 경관의 깊이: 광화문광장은 단일한 건물이나 대상이 지배하는 경관이 아니다. 북악산에서 후원으로, 경복궁에서 주작대로로, 거대한 건물군에서 역사적 도심으로, 다양한 층위의 풍경이 중첩되며 산수와 인문이 공존하는 경관의 장이다. 공간의 깊이: 광화문광장은 3차원적 깊이를 갖는 도시 공간이다. 광화문이 지배하던 과거의 수평적 왕도는 수직적으로 성장해 고층의 현대 도시로 변화했다. 수직적 도시를 지탱하는 거대한 지하의 기반 시설들은 시공간의 입체적 확장을 가속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수백만의 사람들을 위한 수백만의 장소들
21세기의 광장은 하나의 목적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시민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광장을 찾고 제각각의 장소를 구축한다. 서로가 서로의 배경이 되었다가 때로는 큰 목소리를 내기 위해 광장을 공유한다. 광장은 일상과 기념비가 혼성적으로 중첩되는 장소로서 필요에 따라 공원, 길, 광장으로 모습을 바꾼다. 우리가 기대하는 광화문광장은 수백만의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수백만의 장소다. 대상지와 비전 시민 공론장 확장의 역사: 육조거리는 권력의 공간이었다. 행랑은 그 권위를 형태로 보여주며 백성을 타자화했고, 육조거리에 시민은 없었다. 권력과 시민의 전선은 광장의 남단에 있었다. 육조 관청은 시민들의 공간을 동서로 분리해 섬처럼 만들었다. 현재 권력과 시민의 경계가 북쪽으로 이동하며 장벽 일부가 와해됐지만, 차도라는 또 다른 장벽이 남아 있으며 광장은 여전히 남에서 북으로 흐른다. 우리는 장벽뿐만 아니라 남북의 방향성이 없으며, 동서에서 끊임없는 개입이 이루어지는 진정한 광장을 만들고자 한다.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능성: 일상의 도시는 면으로 펼쳐져 있고, 광화문광장은 그 연속 면의 일부다. 광화문광장에 공공 공간이 갖는 다양한 가치를 담아 광장 그 자체와 광장으로의 접근성, 광장을 찾는 사람들, 광장에서 펼쳐지는 행위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고자 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반추의 공간 그리고 미래상
광화문광장은 전통과 현재가 공존하는 특별한 공간이다. 이 같은 다른 차원의 도시 위계를 한데 도입해 하이브리드형 광장을 조성하고자 한다. 먼저 동양적 분위기와 기하학적 형태를 혼합한다. 지상은 한국적 분위기의 마당으로 만들고, 지하 공간은 시민들의 다채로운 활동을 수용하는 창작스튜디오로 재탄생시킨다. 지속가능한 도시는 변화를 거듭한다. 도시의 변화는 정치인이나 특정 전문가가 아닌 시민의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광화문광장의 지하 공간을 시민들에게 내어줌으로써 이들이 서울의 미래를 창의적으로 바꿔나갈 수 있게 한다. 창작스튜디오 창작스튜디오는 지하에 조성되는 대규모 실내 공공 공간이다. 상황에 따라 소규모 광장, 마켓, 박물관, 워크숍 룸, 스크린 등 다채로운 공간과 시설이 들어서게 되며, 비워진 공간은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그 목적과 기능이 발현된다. 창작스튜디오에 사람들의 삶과 생각이 담기면서 광장은 일상 공간으로 거듭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데머크래틱 보이드
‘데머크래틱 보이드(Democratic Void)’는 유교적 왕조 정치의 중심 공간으로서의 광장과 민주주의의 영속성을 확인하는 장소로서의 광장, 두 정체성의 공존을 모색한다. 광화문광장을 역사와 일상이 더불어 살아 숨 쉬는 장소로 회복하고자 한다. 역사광장은 월대와 해태상 복원, 마사토 포장과 전통 수목 식재 등으로 역사성을 드러내고, 시민광장은 공간을 비움으로써 국가의 위기에 많은 국민이 모일 수 있는 장소로 만든다. 분리된 역사광장과 시민광장을 통일감 있는 디자인으로 연결한다. 또한 ‘국가 소유의 땅은 시민들에게 공유되어야 한다’는 원칙 아래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여러 공간을 더한다. 많은 교통량을 수용하면서 시민들이 차량 통행에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광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광화문 플랫폼을 조성한다. 광화문 플랫폼 광화문 플랫폼은 지상으로부터 4m 위에 떠 있는 보행 데크이자 공중 정원이다. 이를 광장 동쪽과 서쪽에 조성해 다층 구조의 광장을 만든다. 플랫폼은 남북으로 길게 뻗은 두 개의 보행 축으로 기능하는데, 플랫폼에 마련된 공중 정원과 소규모 잔디 광장에서 산책하거나 다양한 행사를 즐길 수 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광화문 풍경
광화문 앞의 상징적 가로를 하드스케이프 중심의 권위적 공간이 아닌 한국적 정서가 담긴 도시 풍경으로 제안한다. 오랫동안 단절됐던 보행의 흐름을 다시 잇고, 광화문광장 일대를 한국적 아름다움을 느끼며 산책할 수 있는 온화한 일상 공간으로 되돌리고자 한다. 권위를 상징하는 풍경이 아닌, 주변 경관을 수용하고 시민 활동을 포용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킨다. 새로운 광화문광장은 서구식의 위요된 광장이 아니라 남산과 백악산으로 탁 트인 조망을 제공하는 개방형 광장으로 거듭날 것이다. 차선이 축소된 광화문광장은 대로의 일부가 아닌 온전한 광장으로 기능하게 된다. 광장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해치마당을 옮겨 이용 가능한 면적을 확대하고, 인접 건물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동서 간 보행 연결성을 높인다. 차도로 분리됐던 역사광장과 시민광장은 험프 포장으로 연결한다. 전략 한국적 경관을 통한 시적 함축: 역사광장은 복원 중심의 정적인 공간이며, 시민광장은 시민 활동을 수용하는 동적 공간이다. 두 광장을 흙으로 포장해 육조거리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고, 한국적 경관을 연출함으로써 하나의 공간으로 느껴지게 한다. 삼군부 터에 위치한 정부청사 건물은 일부만 파빌리온 형태로 남기고 나머지는 철거하여 광화문 풍경을 바라보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서울 패치워크
콘셉트 새로운 광화문광장은 오랜 역사적 가치와 물리적 요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과거와 현재, 일상과 비일상, 개인과 집단,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은 것 등으로 양분되는 가치 중 어느 쪽으로도 편중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시민 공원으로서의 유연함과 역사 공원으로서의 강력한 정체성을 지닌 공간, 이질적인 것이 상보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작은 요소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집합체를 이루는 조각보(patchwork)의 속성을 차용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일상과 축제의 불확정성 광장
광화문광장은 대한민국의 역사광장이며 민주화를 실현시킨 시민광장이다. 역사와 집단의 기억을 품을 광장을 온전한 시민광장으로 대물림하려면 광장을 차량으로 분절하는 우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또한 시민들은 언제든 아무 제약 없이 광장을 분할하고 통합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세스 1단계, 광화문광장의 역사와 문화적 상징성 회복: 옛육조거리의 공간적 위엄과 관악산을 향하는 궁궐 축을 회복한다. 또한 광장의 동서, 남북축에서 시야를 가리는 요소를 제거해 인왕산, 북악산을 향하는 시각적 통로를 확보한다. 사라진 의정부는 복원하고 육조거리의 담장 일부와 삼군부 터는 역사광장 바닥에 흔적을 남기는 방식으로 그 형태를 보여준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공동의 광장
모두를 위한 상징적 장소 광화문광장은 접근성이 부족하고, 기형적 선형 구조이며, 상징적 가치를 잃은 곳이다. 이러한 광장에 새로운 개념을 부여해 모든 사람을 위한 상징적 장소로 만든다. 목표는 두 가지다. 첫째, 광화문광장은 기념비 자체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광장과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을 끌어내야 한다. 둘째, 광화문광장은 도시의 비어 있는 공간이자 소통의 장이 되어야 한다.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유연한 공간과 여러 가지 유형의 프로그램을 갖춰야 한다. 이를 통해 광장은 단순한 휴식처나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며 거쳐가는 장소를 넘어 만남과 각종 이벤트가 벌어지는 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다. 역사적 문화유산의 보전과 사회적 가치 실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지역 공동체의 대표 공간으로서의 광화문광장을 제안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작은 광장이 만드는 여러 갈래의 길
대로에서 광장으로 광화문광장은 약 600년 동안 서울의 입구를 상징하는 대로였다. 근대 이후 차도로 이용되다 광장으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년 전의 일이다. ‘작은 광장이 만드는 여러 갈래의 길’은 광화문광장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하나의 도시 조직으로, 진정한 광장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만드는 느린 전략이다. 우리가 제안하는 것은 대로도 커다란 광장도 아니다. 대상지에 단 하나의 광장이 아닌 주변 공간과 어우러지는 여러 개의 작은 광장을 조성하여 도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해가는 광화문광장을 만들고자 한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숨겨진 역사적 거리
역사란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다. 광화문광장의 역사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회복하여 시민들이 과거와 지속적으로 대화하는 장을 마련한다. 권위적인 선형 축을 비롯한 역사적 흔적은 모두 지하화하고, 지하 공간을 역사 재해석의 장으로 활용한다. 녹지와 쉼터가 마련된 지상의 광장은 시민들의 공간이 된다. 공원 같은 광장에서 사람들은 안락함을 느끼고 광화문광장은 소통과 화합의 장소로 거듭날 것이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비평: 새 광화문광장에 관한 풍문들
“인간은 그 자신의 밀실에서만은 살 수 없어요. 그는 광장과 이어져 있어요.” _ 최인훈의 ‘광장’ 중 우리는 미술 시간에 풍경을 스케치하러 경복궁에 가곤 했다. 같은 교복을 입은 우리는 서로 다른 장소를 그렸다. 우리는 동쪽 문으로 들어가고 나왔다. 그곳이 정문인줄 알았다. 한글로 ‘광화문’이라고 쓰인 대문은 늘 굳게 닫혀 있었다. 그 앞은 광활한 16차선 대로와 마주하고 있었다. ‘광화문’과 ‘광장’은 전혀 관련이 없었다. 교보문고는 지적 피난처였다. 『조경학개론』을 거기서 샀다. 그무렵 동십자각 인근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 교보문고에서 동십자각으로 가는 길은 미국대사관 뒷길이었다. 그 길이 삼청동에서 청계천으로 흐르던 물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세종대로는 늘 질주하는 차들로 가득하고, 인도는 철창을 단 버스와 무장한 전경들이 점유하고 있었다. 내가 다닌 길은 일종의 피마길이었던 셈이다. 우리는 교실에서 “서양에 광장이 있다면, 동양에는 길이 있다”고 배웠지만, 광화문에는 광장도 없고 길도 없었다. 차량이라는 밀실은 넘쳐났다. 역사적 장소를 밀실로 점령당한 우리들은 그 사실조차도 자각하지 못했었다. 정치적으로나 공간적으로나 난폭한 시절이었다. 그 난폭함을 중앙분리대의 은행나무가 중화하고 있었다. 지금도 해마다 가을이면 광화문광장에 간다. 학생들과 함께 간다. 북촌과 경복궁, 광화문광장을 거쳐 청계천으로 이어지는 역사 공간 루트를 답사하는 일정이다. 2009년에 광장이 조성되고 광화문이 열린 덕분이기도 하다. 밀실들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아쉽다. 광장에서는 광화문으로 가기 어렵고, 광화문에서는 광장으로 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서로가 바로 눈앞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장은 세종문화회관에서도, 미국대사관에서도 접근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중앙분리대”라고 불리는 이유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은 민주주의의 주요 고비마다 이 장소에 모였다. “광화문과 광장이 연결되면 참 좋겠다.” 이곳을 답사할 때마다 학생들과 나누던 이야기다. 이것만으로도 광화문 앞 공간을 재구조화해야 하는 당위성이 있지 않은가. 새삼스러운 이야기도 아니다. 꽤 오래전부터, 꽤 많은 사람이 소망하고 궁리해 왔다. 그 궁리들을 모아 실행하려는 권력이 나타났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가 열린 것이다. 그 동인이 정치적 의도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정치와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웠던 도시 공간 구현 사례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공간의 생산과 소비에는 권력과 계급, 정치, 경제 같은 힘들이 관계한다.1 조선의 건국과 함께 한 ‘주작대로’, 조선 후기의 ‘육조전로六曹前路’, 일제 식민지기에 왜곡된 ‘광화문통光化門通’, 군사 정권 시대의 16차선 세종대로, 2009년에 조성된 현재의 광화문광장 등은 모두 권력과 정치의 산물이다. 다만 새 광화문광장은 역사성을 회복하는 장소이면서 시민들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소망을 담고 있다는 것이 다르다면 다르다. 2019년 1월 21일, 설계공모의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이순신·세종대왕 자리 옮기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설계 당선작 발표”2라고 즉시 보도되기 시작했다. 그날 이후, 부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들이 쏟아졌다. “‘이순신’ 빼고 ‘촛불’이라니요”,3 “이언주 ‘박원순 뭐길래 세종대왕·이순신 동상 치우나’”,4 “물구나무서는 이순신장군?…‘광화문광장’ 길을 잃다”,5 “이언주 ‘박원순, 대권놀음 빠져 광화문 광장 좌파 취향 훼손’”6 등이 그것이다. 외부 공간 설계가 이렇게 온 나라를 들썩이게 하는 톱뉴스가 되었던 적이 있던가. “우리는 참 많은 풍문 속에 삽니다. 풍문의 지층은 두텁고 무겁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역사라고 부르고 문화라고 부릅니다. 인생을 풍문 듣듯 산다는 건 슬픈 일입니다. 풍문에 만족지 않고 현장을 찾아갈 때 우리는 운명을 만납니다.” _ 최인훈의 ‘광장’ 서문 중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 동상은 치워지나 가장 먼저 나돈 풍문은 “세종대왕·이순신 동상 치운다”7는 것이다. “이순신장군이 물구나무선다”8는 풍문도 돌았다. 이를 들은 이는 “우리의 가장 빛나는 역사적 유산의 상징을 박 시장이 뭔데 함부로 치우냐”9고 강력하게 비난한다. 풍문의 지층은 점점 두터워진다. 당선작 ‘깊은 표면(Deep Surface)’은 주작대로를 계승하고 북악산으로 열린 옛 경관의 복원을 위해 세종대왕·이순신장군상 이전을 제안한다. 그분들이 누구인지와 상관없이, 동상이라는 서구적 모뉴먼트를 그대로 두고 주작대로를 계승하고 옛 경관을 복원한다는 것은 설계자의 양심에 반하는 일이었을지 모른다. 서구적 모뉴먼트가 시선을 지배하는 공간을 대한민국의 대표 역사 경관으로 내세우는 민망함을 피하고 싶었을 수도 있다. 어쨌든 당선작은 수상작 10팀(본상 5팀, 가작 5팀) 가운데 유일하게, 그리고 과감하게 두 동상의 이전을 제안한다. 세종대왕상은 세종문화회관 옆으로, 이순신장군상은 옛 삼군부 터로 이전하여 동상과 공간적 맥락의 연계를 모색한다. 두 동상이 왜 거기에 있어야 하는지를 수긍할 수 있는 공간적 맥락을 만들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풍문처럼 세종대왕·이순신장군상을 치우는 것이 아니고, 이순신장군상을 물구나무 세우는 것도 아니다. 역사적 유산의 상징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동상과 역사적, 공간적 맥락을 결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들이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을 그렇게 존중하고 아낀다면, 지금 동상처럼 이순신장군이 왼손잡이인지, 삼도수군통제사가 왜 15m 높이 기둥 위에 위태롭게 서서 매연을 뒤집어써야 하는지, 세종대왕은 왜 이순신장군 뒤에 앉아 있어야 하는지, 이분들은 왜 모두 경복궁을 등지고 있어야 하는지를 먼저 물어야 할 것이다. ...(중략) 각주 정리 1. Lefebvre, H.,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Publishers, 1991. 2. 권영은, “이순신·세종대왕 자리 옮기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설계 당선작 발표”, 「한국일보」2019년 1월 21일. 3. 정지섭, “이순신’ 빼고 ‘촛불’이라니요”, 「조선일보」 2019년 1월 22일. 4. 김은빈, “이언주 ‘박원순 뭐길래 세종대왕·이순신 동상 치우나’”, 「중앙일보」 2019년 1월 23일. 5. 정우교, “물구나무서는 이순신장군?…‘광화문광장’ 길을 잃다”, 「일간투데이」 2019년 1월 23일. 6. 김도형, “이언주 ‘박원순, 대권 놀음 빠져 광화문 광장 좌파 취향 훼손’”, 「아주경제」 2019년 1월23일. 7. 4번 기사 8. 5번 기사 9. 4번 기사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최정민은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설계 실천과 교육 사이의 간극을 고민 중이다. 대한주택공사에서 판교신도시 조경설계 총괄 등의 일을 했고, 동심원 조경기술사사무소 소장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와 설계공모에 참여했다. 제주 서귀포 혁신도시, 잠실 한강공원, 화성 동탄2신도시 시범단지 마스터플랜 등의 설계공모에 당선되었다. 조경비평 ‘봄’ 동인으로 현실 조경 비평을 통해 조경 담론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싶어한다.
비평: 광장의 정치화를 모독한다
나는 광장에 서는 것을 기피한다. 체질적으로 광장이 내 몸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내게 광장은 여러모로 불편하다. 광장은 크고 작은 행위를 담아내는 무대이며 동시에 객석을 포함하는 극장이다. 그럴 때 광장은 존재 의의를 찾는다. 그 안에는 여러 유형의 인간이 존재하기 마련인데, 어울리기로는 광대가 대표적이다. 더욱이 크라운(crown)을 머리에 얹은 광대가 있으면 광장은 더욱 빛난다. 광대와 광장이라니. 나는 지금 언어의 유희로 광장을 모독하려 든다. 오늘날 우리에게 광장은 진정성의 기표다. 민주 공화국임을 상징하는 신성한 곳이다. 더 이상의 신성 모독은 죄악이다. 고로 광장을 거부하는 것은 죄악이다. 나는 죄인이다. 광장의 시작은 한 인간의 작은 신체로부터 비롯된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그 자신이 광장의 시작점이라는 생각을 갖지는 못한다. 하나둘 신체들이 접촉하면서 만들어지는 물리적 광장 이전의 세포cell들은 언젠간 완성형으로 만나게 될 광장이란 이름의 바디body가 얼마나 위대한 장소가 되어 자신들을 선동하는 장치가 될 것인지조차 알지 못한다. 그런 사실을 일찌감치 간파한 정치가 대부분은 위대한 광장의 빛나는 광대임을 자임한다. 광장에서의 소통이 민주 사회의 역군임을 보증받는 일이기에 그곳에서는 정치적 노선의 다름을 불문하고 한 치의 망설임 없이 광대의 옷을 몸에 걸친다. 그리하여 우리가 아는 광장은 로마 시대 권력자들이 발가벗고 정치하던 대목욕탕과 같이 입바른 소리와 몸에 맞지 않는 위선의 행동으로 빨갛게 노랗게 파랗게 물들여졌다가 이내 썰물이 빠져나간 것처럼 텅빈다. 그래서 광장은 주조색이 없다. 그때그때 물들여지고 이내 지워짐을 반복한다. 광대가 아무리 많아도 광장을 지배하지 못하는 이유다. 광대의 진정성은 말하기를 멈추고 몸짓으로 말을 전한다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우리가 광장에서 만난 수없이 많은 인파의 손에 들린 촛불과 팻말과 태극기는 각자가 시위하는 이유를 담아냄으로써 광대의 전형을 보여준다. 그것이 구호에서 몸싸움으로 번지면서 어느덧 광장은 광대의 손을 떠나 전투사들의 격전이 벌어지는 투기장으로 변한다. 누구도 이러한 광장에서 진정성을 찾지는 않겠지만 우리가 기억하고 싶은 축제의 광장 이면에는 늘상 일그러진 풍경의 광장이 자리하고 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전진삼은 종합 예술지 『공간』 편집장, 건축 정론지를 표방한 『건축인 포아(POAR)』 창간인 겸 초대 편집인 주간을 거쳐 현재 격월간 『와이드AR』의 발행인 겸 편집인이다. 건축 비평서 『건축의 발견』, 『건축의 불꽃』, 『조리개 속의 도시, 인천』, 『건축의 마사지』 등을 썼고, 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를 반대하는 건축과 미술, 고고학 전문가들의 생각을 모은 『건축은 없다?』, 『건축인 30대의 꿈』, 『건축 사이로 넘나들다』 등 30여 책의 공저자로 함께했다.
비평: 광무11년 7월 31일 한성, 모든 일은 그때부터 시작되었다
대체 광화문광장을 생각할 때 밀려오는 난감함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장소 부정합성에 따른 무기력증을 동반한 직업병에서 기인한 것인지, 소실된 장소가 주는 망각과 삶의 표피의 간극에서 발생한 상실감을 동반한 우울증인지 가늠할 수 없어 스스로에게 몇 가지 사소한 질문을 놓는다. 대한민국 헌법은 이렇게 시작한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을 계승하고,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 헌법이 말로 규정한 대한민국이라는 실체에 대한 정의라면 멀리 청와대와 정부청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세종문화회관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작동케 하는 정부와 문화가 있는 공간적 실체다. 광화문광장은 그 중심에 있다. 그것이 설령 조선 시대 오백 년의 역사적 공간과 중첩을 이룬다 하더라도 그렇다. 그러나 지금의 광장 또 앞으로의 광장 어디에 임시 정부의 법통과 4·19의 기억이 있는가. 조선조 오백 년에 대한 부정이 아니라 그것은 하나의 역사로서 남아 있으면 아니 되는가. 이순신장군상이 가진 불순한 의도를 알면서 굳이 세종대왕을 앉히고, 월대를 넓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렇다, 그 모든 것이 정치적 이유 때문이라면 이해하겠다. 광장은 원래 정치적 공간이다. 그들의 정치야 여전히 밀실에서 이루어지지만 인민2의 정치는 광장에서 이루어진다. 촛불이 그랬고, 명박산성이 그랬고, 6·10이 그랬고, 4·19가 그랬다. 그러나 그러한 일들은 광장이 아니었을 때도 이루어졌다. 그러니까 민주주의가 광장에서만 가능하다는 논거는 성립할 수 없고, 민주주의는 어디서고, 어느 때고 작동 가능한 것이 되어야 한다. 다시 얘기하자. 광장은 정치적 공간이나 광장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굳이 광장을 만들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여기서 문제가 광장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 묻게 된다. 광장 안의 문제라고 하면 광장의 형식과 기술적 해결이 문제가 될 것이고, 광장 밖의 문제라면 광장의 존재 이유와 인민의 합의가 아닐까. 광장 안의 문제는 경관이나 프로그램, 교통 같은 기술적 문제를 떠나서, 기본적으로 광장은 그릇과 같아야 한다. 거기에 정치가 담기든, 축구공이 담기든, 노란 종이배가 담기든, 성조기가 담기든, 광장은 그 모두를 담는다. 내용이 정치냐 문화냐의 차이가 있을 뿐 광장 자체가 어느 한 시대의 정치색을 가질 수 없다. 그것은 촛불도 마찬가지다. 내용물이 흘러 쏟아지지 않게 그릇을 만들면 될 일이지 그릇에 광어회를 그려 넣거나 감자탕을 그려 넣고 배불리 드시라고 얘기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니 광장은, 그 형태나 형식은 광장 밖의 문제를 공간으로 풀어 수용하나 광장 밖의 문제에 갇혀 넘어서지 못한다. ...(중략) 각주 정리 1. “하지만 1907년 고종이 강제퇴위 당한 직후 일본의 압력으로 설치된 성벽처리위원회에 의해 숭례문 좌우 성벽이 철거되면서 도성은….”, “내각령 제1호, <성벽처리위원회에 관한 안건> 제1조 성벽처리위원회는 내부, 탁지부, 군부 세 대신의 지휘 감독을 받아서 성벽을 헐어 철거하는 일과 그 밖에도 이와 관련한 일체 사업을 처리한다. …제5조 본 영은 반포일부터 시행한다. 광무11년 7월 30일 내각총리대신 훈2등 이완용”, 서울역사박물관 편, 『서울 한양도성』, 서울역사박물관, 2015, p.54 중. 2. 1919년 4월 11일 제정된 임시정부법령 제1호 ‘대한민국 임시헌장’에서 사용한 용어다.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이수학은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이원조경에서 4년 동안 일했다. 프랑스 라빌레뜨 건축학교와 고등사회과학대학원이 공동 개설한 ‘정원·경관·지역’ 데으아(D.E.A.) 학위를 받았고, 2003년부터 아뜰리에나무를 꾸리고 있다. www.ateliernamoo.xyz
비평: 새광장의 주인, 동상의 주인
최인훈이 소설 ‘광장’을 통해 말하듯 우리의 존재 양태는 밀실만으로, 또는 광장만으로 충족되지는 않는다. 물론 ‘광장’에서 밀실과 광장의 개념은 사회주의, 자유주의와 같은 이념 추구와도 관계가 있겠지만, 굳이 이념적 입장이 아니어도 밀실을 개인주의적 삶, 광장을 사회적 삶과 발언의 비유적 표현이라 볼 때 역시 그러하다. 실은 머리로는 광장을 추구하지만 몸으로는 여전히 밀실을 추구하는 사람, 건물로 둘러싸인 커다란 공터나 폭발적 에너지로 넘쳐나는 군중 사이에 있는 것에 왠지 모를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인 나는,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가 그리는 휴먼 스케일의 도시 내 커뮤니티를 추구하면 했지 그다지 광장을 즐기는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광장을 중히 여기고 그 존재 방식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밀실이든 광장이든 어떤 것이 필요할 때 그것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고, 어느 한쪽의 존재가 없다면 이는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광화문광장의 조각상을 둘러싼 논쟁은 조각과 출신인 나에게 관심이 가는 논제일 수밖에 없었다. 광장을 광장이게 하는 요소는 단순하지만은 않다. 그저 물리적으로 너른 공간을 확보한다 해서 그것이 광장이 되는 것은 아니다. 광장의 의미는 사람들이 그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완성된다. 광장은 실재적, 물리적, 일상적 공간이면서 상징적 공간이고, 비워진 공간이면서 동시에 활동으로 채워지는 공간, 그리고 이를 위한 적당한 밀도의 물리적 요소가 필요한 공간이다. 같은 광장이라도 어떻게 디자인하고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것은 아고라가 되기도, 또는 반대로 제의적 공간이나 전체주의적 권력의 전시장이 되기도 한다. 10년 전 광화문 세종로에 광장이라 불리는 어정쩡한 공간이 생겼을 때, 그것은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기도 했을뿐더러 그 형태나 내부 밀도를 생성하는 요소들의 배치 역시 광장이라 하기엔 애매하기 짝이 없었다. 어쩌면 군부 정권의 직선적 힘과 미학을 전시했던 쭉 뻗은 대로와 동상이 있던 공간에 사멸한 광장을 되살린다는 상징적 의미에 주안점을 둔 시도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시일이 지나면서 시민의 활동에 따라 아고라로서 광화문광장의 역할은 점점 더 커졌으며, 그만큼 공간에 대한 새로운 요구도 생겨났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진나래는 조각과 사회학을 전공했으며, 사회와 예술, 도시, 인류학과 기술·문화 등에서 발생하는 타자성과 윤리의 문제에 흥미를 느낀다. 2012년 ‘일시합의기업 ETC(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를 공동 설립하여 활동한 바 있다. 현재 학업과 작업을 병행하며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2017년 2월부터 12월까지 『환경과조경』에 “예술이 도시와 관계하는 열한 가지 방식”을 연재한 바 있다.
비평: 광화문 광장에 대한 논의, 이제 시작이다
당선작이 현재의 공간에서 많은 진전을 이룬 디자인인 것은 분명하다. “세계 최대의 중앙분리대”라고 조롱받던 공간이 광화문의 월대나 해태상 같은 요소를 재현하면서 광장의 역사성을 회복·강조하고, 차도 한가운데 위치했던 광장이 서쪽 보행 공간과 온전하게 합쳐지면서 시민들이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공간으로 변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남는 질문이 있다. 이 광장이 왜 그 자리에 있어야 하느냐다. 그 질문에 대한 분명한 답이 있냐는 점에서 보면, 이번 설계안도 과거의 시도와 거의 다르지 않다. 즉 ‘수도 서울이 자랑할 수 있는 번듯한 광장을 가져야 한다’는 목적의식이 ‘시민들이 왜 그 장소를 필요로 하느냐’는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노력에 앞서버린 느낌이다. 횡단보도나 지하도를 통해서만 갈 수 있는 ‘접근성의 부족’은 광화문광장이 가진 중요한 문제지만, 문제의 핵심은 아니다. 현재 광화문광장은 그 존재 이유가 규정되지 않은 공간이라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이는 시민과 관광객이 광장을 이용하는 모습을 조금만 관찰해봐도 알 수 있다. 대개 횡단보도를 건너 광장에 도착한 후 분수대나 세종대왕상 앞에서, 혹은 경복궁 너머 북악산을 배경으로 사진을 몇 장 찍은 후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전형적인 광장 이용 패턴이다. 그 밖에 노조나 관이 하는 성격이 짙은 행사에서 대형 스피커 탑과 무대, 간이 의자들을 광장에 늘어놓는 정도가 현재 광장의 용도다. 즉 대규모 집회가 아니면 일반 시민들은 광장에 머물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 이유는 광화문 앞 세종로의 탄생, 서울 도심의 전통적 구조와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서울 도심에서 사람의 흐름, 상업 공간의 배치는 종로, 청계천, 을지로 등에서 볼 수 있듯 동서의 축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비하면 남북으로 흐르는 도심 도로들은 빈약하고 보행량이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화문 앞 세종로 공간이 대형으로 조성된 이유는 그곳이 바로 왕이 행차하는 권력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즉 경복궁에서 출발하는 권력의 투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지, 백성 혹은 시민이 이용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공간이다. 물론 지금 경복궁은 권력의 공간이 아닌 역사적 유물이 되었고, 청와대가 인근에 있다고 해도 광화문 앞 도로를 권력의 과시용으로 사용하는 시절은 지났다. 하지만 세종로는 여전히 정부청사와 미국대사관, 세종문화회관 등 힘 있는 건물들이 들어선 공간일 뿐 시민들이 즐겨 찾는 시설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시민들은 그 자리에 아름다운 광장이 하나 있다고 해서 찾아가야 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굳이 간다고 해도 그곳에 들렀다는 증명사진 한 장 찍는 것 외에는 할 일이 없어 자리를 뜨게 되는 것이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박상현은 사회학과 미술사를 전공하고,현재 미디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메디아티(mediati)에서 콘텐츠랩장으로 일하고 있다.「서울신문」등의 매체에 미디어와 테크놀로지,미국 정치에 관한 글을 쓰며『영국에서 사흘 프랑스에서 나흘』,『아날로그의 반격』등을 번역했다.
야간 스퀘어
‘퍼스 시티 링크 프로젝트(Perth City Link Project)’는 퍼스 중심 업무 지구(Perth CBD)와 노스브리지(Northbridge)사이의 부지를 재개발하는 사업이다. 퍼스 중심 업무 지구와 노스브리지는 두 지역 사이를 가로지르는 철로로 인해 오랜 시간 단절되었으며, 1904년에 지어진 호스슈 브리지(horseshoe Bridge)가 유일한 연결로였다. 두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기존의 철로를 지하화하고 약 13.5ha의 부지를 마련했으며, 쇼핑몰, 주거지, 식당, 광장 등을 새롭게 계획했다. ‘야간 스퀘어(Yagan Square)’는 퍼스 시티 링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된 문화 공간이다. 대상지는 동쪽으로 호스슈 브리지와 인접하고, 센트럴 퍼스 역(Central Perth Station)과 퍼스 버스 터미널(Perth Busport) 사이에 있어 유동 인구가 많고 지형 구조가 복잡했다. 또한 이곳은 오래전 영국의 식민지기를 거치면서 고유한 경관과 원주민 문화를 잃기도 했다. 대상지에 얽힌 다양한 맥락을 설계에 반영하고자 조경, 건축,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협업했다. 이로써 역사, 문화, 예술, 음식, 건축, 경관이 한데 어우러진 복합 오픈스페이스가 탄생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ASPECT Studios Principal Architect Lyons in Association with Iredale Pedersen Hook Retail Architect Maddison Architects Construction DORIC Group Engineering WSP, Aurecon and Waterform International Artist Jon Tarry Arborist Arbour Carbon Digital Lighting Ramus Illumination Art & Cultural Advisor Malcolm McGregor, Material Thinking and Richard Walley Client Metropolitan Redevelopment Authority Location Perth WA, Australia Cost $73.5 million Area 1.1ha Completion 2018 Photographs Peter Bennetts ASPECT 스튜디오(ASPECT Studios)는 1993년에 설립된 호주의 조경설계사무소로,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시드니, 상하이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폭넓은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조경, 도시계획, 통합 놀이터 등의 공간 설계부터 최첨단 인터랙티브 디지털 미디어, 환경 그래픽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지향하는 설계를 추구하며, 클라이언트와 지역 사회 모두를 만족시키는 디자인 해결책을 제공하려 힘쓰고 있다.
호흘롭스카야 스퀘어
‘마이 스트리트(My Street)’는 모스크바 시의 낙후된 거리를 개선해 보행 친화적으로 만드는 도시 재생 사업이다. 모스크바의 역사적 도심을 둘러싼 순환 대로인 블러바드 링(Boulevard Ring)이 사업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도로 포장, 배수, 식재, 편의 시설 등이 대대적으로 개선되었고, 블러바드 링 인근의 유휴 공간도 새롭게 변화했다. 그중 하나인 ‘호흘롭스카야 스퀘어(Khokhlovskaya Square)’는 오랜 시간 방치된 역사적 공간이었지만, 주변의 변화와 발맞추어 역사와 현재가 공존하는 광장으로 거듭났다. 고고학적 유산의 발견 대상지는 블러바드 링의 일부인 포크롭스키 블러바드(Pokrovskiy Boulevard)와 포크롭카 거리(Pokrovka Street)의 교차점 인근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하얀 성벽이라 불리는 벨고로드스카야(Belgorodskaya) 성벽이 있다. 이 역사 자원은 16세기부터 모스크바의 경계를 이뤘지만 18세기 경 도시에 대로가 들어서기 시작하며 해체됐다. 성벽이 사라진 후 대상지는 주차장으로 이용되었는데, 2000년대 초반 쇼핑몰 건설 공사 중 거대한 구덩이에서 성벽의 일부가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공사는 중단되고 부지는 오랜 시간 방치되면서 도심 속 흉물로 전락했다. 우수가 고이고 폐기물이 쌓였으며, 블러바드 링을 산책하는 보행자에게 큰 불편을 안겨주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Djao-Rakitine Local Architect Strelka KB Client Strelka KB, City of Moscow Location Pokrovskiy Boulevard, Moscow, Russia Area 3,850m2 Design 2015~2018 Completion 2018 Photographs Olga Alexeyenko, Strelka KB 디자오-라키틴(Djao-Rakitine)은 런던과 파리에 기반을 둔 조경설계사무소로, 제품 디자인부터 마스터플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범위의 프로젝트를수행한다. 프로젝트의 규모와 관계없이 부지의 지리적, 생태학적, 문화적, 경제적 특성 등에 주목해 대상지의 잠재력을 최대한 드러내는 설계를 추구한다. 2015년 설립 이후, 런던의 웨스트민스터와 모스크바 시의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으며, 중국, 러시아, 슬로베니아의 민간 프로젝트에도 활발히참여하고 있다.
타피 루즈
‘타피 루즈(Tapis Rouge)’는 아이티(Haiti)의 카르푸르-푀유스(Carrefour-Feuilles)에 있는 공공 공간 중 하나로, 라미카(LAMIKA)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미국 적십자사와 글로벌 커뮤니티스(Global Communities)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라미카는 ‘우리 이웃의 더 나은 삶(The Lavi Nan Miyo Katye Pa)’이라는 뜻의 크리올어(Creole)에서 따온 말로,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고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카르푸르-푀유스는 2010년 아이티를 강타한 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본 지역이다. 산골짜기의 경사지에 세워진 주택들은 전기, 수도, 위생 시설 등 삶을 위한 기본적인 시설도 갖추지 못하고 있고, 공공 기반 시설도 전혀 없는 상태다. 다닥다닥 붙어 있는 집에는 언덕을 굽이굽이 돌며 이어지는 좁은 골목을 통해서만 다다를 수 있다. 주민들은 대개 비좁은 길모퉁이나 이웃한 주택의 담벼락 사이에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교류해야 했다. 대상지는 지진으로 집을 잃은 난민들이 텐트를 치고 잠시 머물며 임시 피난처로 사용한 곳이다. 이 공간을 공동체 지향적이며 공공 공간의 가치와 사회적 관계의 성장을 보여줄 수 있는 기반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를 통해 마련된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 폭력, 반사회적 행동을 줄이는 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설계 프로세스에 지역 주민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주민 스스로 삶터를 바꾸는 경험을 하고, 주인 의식, 정체성, 자부심을 느끼게 하고자 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Architect Emergent Vernacular Architecture(EVA Studio) Lead Architect Andrea Panizzo, Simone Pagani, Jeannie S. Lee, Gianluca Stefani, Anna Calogero, Etienne Pernot du Breuil, Edoardo Paoletti, Samuel Eliodor, Berrousse Exius, Faudia Pierre, Radim Tkadlec, Clement Davy Civil Engineer Sisul Consulting Contractor FICCAS, Ginkgo Landscape, ARCOD Artist Le Centre d’art, Bault Client Global Communities Donor American Red Cross Location Carrefour-Feuilles, Haiti Area 4,300m2 Budget $230,000 Completion 2016 Photographs Gianluca Stefani, Etienne Pernot du Breuil 2014년 설립된 EVA 스튜디오(Emergent Vernacular Architecture Studio)는 런던에 본사, 아이티에 지사를 두고 다양한 연구 및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2017년에는 영국왕립건축가협회(RIBA) 공인 사무소로 인증을 받았다. 다양한 문화권의 재능있는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이티와 볼리비아 등 개발 도상국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공공 공간, 기반 시설, 학교, 주택 등을 다루며, 디자인을 통해 사회적 의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지역 예술가나 장인, 정부 기관 등 여러 이해관계자와 함께 지역 풀뿌리 사업을 수행하는 데 능숙하다.
[이미지 스케이프] 수평에 대하여
풍경 사진을 찍을 때면 다른 대상보다 좀 더 신경 쓰는 것이 있습니다. 수평을 맞춰 구도를 잡는 일이지요. 예를 들면 바다, 호수, 길, 건물, 구조물 등으로 만들어지는 선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맞춘다는 뜻입니다. 안정감 있는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가급적 수평을 맞추는 것이 안전(?)합니다. 요즘 카메라에는 뷰파인더에 보조선이 보이거나 수평계가 내장된 경우가 있어서 촬영할 때 수평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래도 막상 모니터로 확인해 보면 수평이 안 맞는 경우가 상당히 많죠. 후보정을 통해 수평을 맞출 수는 있지만, 꽤나 성가신 작업입니다. 그래서 찍을 때 최대한 수평을 맞추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건축 사진을 찍는 분들이 수직선에 강박을 갖는 것처럼 조경 전공자들은 수평선에 꽤 많은 신경을 쓰는 것 같습니다. “내가 찍은 사진 중에 수평 구도가 강조된 사진이 얼마나 될까”, “나중에 이런 사진들을 옆으로 쭉 늘여 붙여보면 재미있겠다.” 그래서 이번 호에는 수평선이 강조된 사진들을 모아 편집해 보았습니다. 이미 ‘이미지 스케이프’에 소개한사진 중에도 꽤 많더군요.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당신의 사물들] 노트북과 데이터
학부 졸업 직전, 데이터 관리에 대한 특강을 들었다. 강의의 핵심은 좋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정리해두지 않으면 추후 활용할 확률이 거의 없다는 것이었다. 이후 나름 데이터 관리에 신경을 썼지만, 그것에 일정 시간을 투자하는 일이 쉽지는 않았다. 그러던 중 대학원 진학을 위해 노트북이 필요했고, 유럽 사람들은 모두 맥북을 쓴다는 뜬소문을 따라 충동적으로 맥북을 구입했다. 2D와 3D 소프트웨어를 함께 써야 하는 조경 설계의 특성상 맥북은 윈도즈 운영 체제 기반의 컴퓨터보다 불편한 점이 많았지만, 맥 운영 체제가 동기화 기능으로 기본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해 데이터를 관리하기에 훨씬 쉽다는 것을 깨달았다. 영화 ‘서치’(2017)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 남겨진 데이터를 통해 실종된 딸의 흔적을 추적하는 내용이다. 현대 사회에서 충분히 일어날 법한 이야기를 신선한 구성으로 보여주었는데, 특히 맥 운영 체제에 익숙한 사람들은 영화의 화면 구성이 더욱 반가웠을 것이다. 영화를 보며 현대인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웹에서 만들어 내고, 이렇게 생성된 정보는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끊임없이 인터넷과 동기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렇게 모인 데이터 그룹은 한 사람 또는 어떤 사물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윤일빈은 서울시립대학교와 에식스 대학교(University of Essex)에서 조경을 공부했으며, 디자인 스튜디오 loci, 길레스피에스(Gillespies)에서 실무 경력을 쌓았다. 한국,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두바이, 중국, 홍콩 등 다양한 나라의 프로젝트를 경험했으며, 2018년 11월부터 삼성물산 조경사업팀 디자인그룹에 근무 중이다.
[그리는, 조경] 측정하는 드로잉
조경 드로잉은 언제부터 그려졌을까. 먼저 조경 드로잉의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정원, 공원, 자연을 그린 모든 그림을 조경 드로잉이라고 한다면 화가가 그린 풍경화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러한 이미지는 존재하는 경관을 모사한 그림일 뿐 조경 드로잉은 아니다. 조경 드로잉은 설계가가 경관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생산한 경관과 관련한 이미지를 말한다. 초기 아이디어 구상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그리는 스케치, 대상지를 분석하면서 생산하는 다이어그램, 공모전 출품을 위해 만든 컴퓨터 이미지, 공사를 위한 시공 도면, 조성 후에 자신의 작품을 다시 그린 이미지 등 설계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시각화 작업을 조경 드로잉으로 볼 수 있다. 그럼 언제부터 조경가가 설계 과정에서 이미지를 생산하기 시작했을까. 조경이라는 전문 분야가 만들어진 것이 19세기 중반 이후이므로, 그 이전의 정원이나 공원을 설계한 전문가를 엄격히 말해 조경가라 부를 수는 없다. 그렇더라도 지난 연재『( 환경과조경』 2019년 2월호, “나무를 그리는 방법, 드로잉의 혼성화”, pp.98~103 참조)에서 소개한 바 있는 이집트 정원 그림을 염두에 둔다면, 우리가 조경이라고 부르는 작업의 역사는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말해도 무방하다. 다만 이집트 정원 그림은 설계가가 그린 것인지 그 여부를 알 수 없기에 조경 드로잉이라 할 수는 없다. 조경 연구자들은 조경 드로잉, 즉 조경가가 경관 설계 과정에서 그린 드로잉이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됐다고 추정한다. 이때의 드로잉은 당시 이탈리아 정원의 질서 정연함을 시각화하기 적합한 평면도 형식으로 그려졌다. 그것은 설계가의 머릿속에 디자인된 경관을 자로 측정해 표현한, 조경 드로잉의 두 가지 특성인 과학적 도구성과 예술적 상상성 중에서 전자의 특성이 강조된 시각화 방식이었다. 메디치 정원 드로잉 16세기 중엽에 조성된 이탈리아 메디치Medici 정원 중 하나인 빌라 디 카스텔로(Villa di Castello)의 정원 상세 평면도는 현존하는 최초의 정원 드로잉 중 하나로 여겨진다(그림 1). 이 드로잉은 정원을 설계한 니콜로 페리콜리(Niccolo Pericoli)(1500~1550), 트리볼로(Tribolo)라고도 불린 이탈리아 조각가이자 화가가 그렸다고 추정된다.1 설계가의 머릿속에 있는 정원을 그대로 평면도로 옮긴 듯한 이 드로잉에는 생울타리의 외곽선이 정교하게 직선으로 그려져 있다. 정원이 조성될 대상지는 평면에서 구획되고 그 내부에 식재가 가지런히 채워지게 된다. 빌라 카스텔로는 현재 남아 있는 이탈리아 정원 중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1404~1472)의 조형 질서를 가장 충실하게 구현한다. 그러한 조형 질서는 화가 주스토 우텐스(Giusto Utens)(?~1609)의 그림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그림 2). 남북 방향의 직선 축이 화폭 중앙을 지배하고 축을 따라 건축물과 정원이 좌우 대칭으로 펼쳐지며, 격자형 길의 군데군데 분수대, 퍼걸러, 조각상 등이 놓여 있다.2...(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Raffaella Fabiani Giannetto, Medici Gardens: From Making to Desig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8, pp.257~258. 2. 빌라 카스텔로 정원 설계의 전반적 설명은 다음을 참조할 것. D. R. Edward Wright, “Some Medici Gardens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An Essay in Post-Aesthetic Interpretation”, in The Italian Garden: Art, Design and Culture, John Dixon Hunt,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pp.34~59.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박사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 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컨벤셔널 콜라주
알 수는 없지만 가정은 할 수 있다. 램 콜하스(Rem Koolhaas)는 디자인의 명료성을 잃지 않기 위해 다이어그램 단계에서 설계를 종료했다. 다이애나 발모리(Diana Balmori)는 회화적 설계에 우아함을 불어넣고자 자신이 19세기 화가가 되는 자기 최면을 걸었다. 디제이 섀도(DJ Shadow)는 턴테이블 플레이어만의 독창성을 만들기 위해 아날로그 악기를 완전히 배제하고 샘플링만으로 음악을 만들었다. 이런 자조적인 재해석의 사념들이 해 질 무렵의 그림자보다 길어지면, 작가는 창작을 위한 배경으로 스스로 제한된 설정을 구축한다고 결론 낼 수 있다. 정의할 수 없지만 가정은 할 수 있다. 1. 콘셉트, 2. 프로그램과 레이아웃, 3. 디자인, 4. 디테일의 단계가 지난 세기 동안 북미와 유럽의 건축계가 합의해 온 가장 효율적인 불패의 설계 프로세스라고 한다면, 이 같은 전형적 워크 프로세스는 비전형적 배경 설정과 대립한다. 음악이라면 싱커페이션(당김음)과 스케일(음계)의 관계에 해당된다. 우리는 이렇게 서로 상충되는 두 방식을 자신만의 해석을 통해 적절히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악보를 준비해야 한다. 새로운 세대를 위한 새로운 설계의 전주곡으로서. 유니버설 가든(Universal Garden)은 우주적 이미지 표현과 유니버설 디자인 시스템의 구축을 목표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다. 우주의 이미지를 직설적으로 표현하지는 않되 보편적으로 감응이 가능한, 언어적으로 모순되어 보이지만 디자인적으로는 상응하는 복합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콘셉트’ 단계를 핵심 프로세스인 동시에 제한 요소로 설정하고, 사이트의 최소한의 물리적 맥락만을 반영한 뒤 우주적 일러스트 아트워크를 그리는 일에만 집중했다. 그리고는 일러스트 단계에서 설계를 종료시켜버렸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나성진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조경을 전공했다. 졸업 후 한국의 디자인엘, 뉴욕의 발모리어소시에이츠(Balmori Associates)와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West 8 로테르담과 서울 지사를 오가며 용산공원 기본 설계를 수행했다. 한국, 미국, 유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파트너들과 함께 얼라이브어스(ALIVEUS)라는 대안적 그룹을 시작했다.
[공간의 탄생, 1968~2018] 한국 도시화의 일상적 현황, 밀도의 향연
무엇이 우리를 도시로 이끄는가? 지난 연재에서는 한국 도시화 50년의 거시적 현황을 ‘쏠림 현상’으로 규정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의 원동력으로서 지난 50년 동안 끊임없이 지속된 정부 주도의 도시화와 대규모 물리적 개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연재에서는 한국 도시화 50년의 일상적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내 삶의 그리고 우리 일상의 도시화 속으로 들어가 보고자 한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1946년생 동갑내기지만, 예전부터 내 어린 눈으로 보아도 여러모로 다른 분들이었다. 어머니는 맏딸로서 학교 교사인 외할아버지의 임지를 따라 충남의 여러 지역에서 사셨는데, 대전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전의 조폐공사에서 오랫동안 일을 하셨다. 반면 아버지는 농사일하시는 할아버지의 장자로서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줄곧 충남 홍성에서 지내고, 이후 대전에서 대학을 나오셨다. 그런 두 분이 1972년에 중매로 만나서 결혼을 하고, 곧이어 물리 교사였던 아버지의 첫 부임지 서산여고 근처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1974년에 할아버지의 건강이 악화되어 아버지는 홍성의 갈산중학교로 전근하게 되었고, 어머니는 이에 따라 아버지의 고향 집에서 시집살이를 시작하게 되었다. 어머니는 지금도 가끔 대전에서 직장을 다니며 고급 양장점에서 옷을 맞춰입던 본인이 8남매의 맏며느리가 되어 시골에서 생활할 때의 이야기를 하시곤 한다. 우리 가족 이외에도 집안에는 농사일하는 머슴이 두세 명 있었으며, 마을 전체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밤이 무척 어두웠고, 아픈 할아버지를 위해 무당이 굿을 하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이모들은 언니의 갑작스러운 시골살이에 놀라서 아버지에게언니를 그만 고생시키라는 항의의 편지를 쓰기도 했다고 한다. 1977년에 할아버지는 결국 돌아가시고, 아버지는 대전의 학교로 전근을 하게 되어 어머니는 시댁과 농촌이라는 공간적 질곡을 떠나 다시 도시로 돌아오게 되셨다. 이와 같은 가족 역사 때문인지 우리 누나는 서산에서, 형은 홍성에서, 나는 대전에서 태어났다. 나는 농촌에 대해 목가적이며 낭만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는 편이다. 그리고 인류 역사상 농촌이 도시보다 오랜 시간 적응하며 진화되었기 때문에, 도시보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간이라는 막연한 생각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편견과는 달리 우리의 언어 속에서 농촌과 관련된 단어들은 순박함과 평화로움을 넘어서 세련되지 못하고 어리숙한 이미지를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농촌은 도시에 비해 발전되지 못한 지역으로, 농촌 사람들은 촌놈, 촌뜨기, 시골뜨기 등으로 비하되기도 한다. 농촌에 대한 이러한 이미지는 사실 우리 언어에서만 보여지는 일은 아니다. 영어에서도 농촌과 농촌 사람에 어원을 두고 있는 boorish(거친), churlish(무례한), loutish(투박한) 등의 단어들은 긍정적이기보다는 다소 부정적인 뉘앙스를 전달한다. 그래서일까, 오늘날에는 강남의 값비싼 집에서나 살듯한 연예인들이 농촌에 가서 잠을 자고 생활을 하는 TV 예능 프로그램이 많다. 어쩌면 오늘날 우리에게 농촌은 TV 예능의 인기 촬영 장소인 섬, 오지, 정글처럼 문명이 닿지 않는 외딴곳으로 여겨지는지도 모르겠다. 과연 무엇이 우리를 지금껏 도시로 이끌었을까? 이제 한국 도시화 50년의 일상적 현황을 ‘밀도의 향연’으로 규정하고, 이를 이끈 시대적 이념, 정치적 의제, 개인적 욕망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거를 위한 기계? 정치를 위한 도구! 욕망의 매개물 도시의 본질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문적 설명이 가능하겠지만, 도시는 본질적으로 주변 배후지에 대한 공간적 중심지라는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도시는 정치 권력, 경제적 부, 사회적 영향력, 문화적 혜택 등이 집적되어 있는 공간적 중심지다. 따라서 개인이 도시로 이동한다는 것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편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사회가 도시를 개선한다는 것은 기존의 중심지를 강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국가가 도시를 개발한다는 것은 새로운 중심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자면, 도시에 대한 어떤 공간적 행위도 주변과 중심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공간 계획 분야에서 개별 건축을 넘어서 집합적 도시 문제와 이슈를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한 것은 산업 혁명 이후의 일이다. 도시의 주체가 권력자로부터 일반 시민으로, 도시의 주요한 건축물이 궁궐이나 관공서 등으로부터 일반인을 위한 주택으로까지 확대되기 시작한 것은 서구에서조차 20세기 이후에야 가능했다. 이와 같은 변화의 선봉에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1887~1965)가 있었다. 그는 근대 건축의 형태와 공간을 제시한 대표적 거장으로서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요구 및 시대의 미학에 부응하지 못하는 기존의 건축과 도시를 질타하며, 새로운 건축과 도시를 제안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김충호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 도시설계·계획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 일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쓰촨 대학교, 한국의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했다.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시네마 스케이프] 칠드런 오브 맨
가슴에 품고 있는 몇 편의 영화가 있다. 숙제하듯 보느니 언젠가 마음의 준비가 되었을 때 보려고 남겨둔 영화들이다. ‘칠드런 오브 맨(Children of Men)’(2006)도 그중 하나였다. 많은 호평과 그 유명한 후반부 롱 테이크 장면에 대해 익히 들었지만, 눈과 귀를 꼭꼭 닫고 때를 기다렸다. 알폰소 쿠아론(Alfonso Cuaron) 감독이 넷플릭스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로마Roma’(2018)를 보고 원고를 쓰려던 참이었다. ‘로마’는 우리가 아는 그 로마가 아니라 감독이 어렸을 때 살았던 멕시코시티의 지역 이름이다. ‘로마’를 좀 더 이해하기 위해 감독의 전작들을 보기로 했다. 개봉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도 기억에 생생한 ‘그래비티(Gravity)’(2013)는 스킵하고, 오래전에 본 영화들을 다시 찾아 봤다. 야한 영화로만 기억나는 ‘이투마마(Y Tu Mama Tambien)’(2001)에서는 내부자의 시선으로 그린 멕시코의 원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분수대 키스, 단 하나의 이미지로만 기억하던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1998). 기네스 펠트로의 아찔한 초록색 원피스는 여전히 아름다웠다. 그리고, 드디어, 마침내, ‘칠드런 오브 맨’을 봤다. ‘로마’는 잠시 잊기로 한다. ‘칠드런 오브 맨’은 2006년에 제작되었으나 한국에서는 10년이 지난 뒤에야 개봉됐다. 영화의 배경은 2027년, 18년째 원인 모를 불임 현상으로 인류는 100년 안에 종말을 고할 예정이다. 전 세계 도시들이 테러로 함락되고 런던이 마지막 보루로 남은 상황이다. 아들을 잃고 무기력하게 살고 있는 테오(클라이브 오웬 분)는 사람들 사이에 섞여 현 인류 중 가장 어린 18세 소년이 사고로 사망했다는 뉴스를 본다. 난민 정책에 항거하는 단체의 리더인 전처가 20년 만에 테오 앞에 나타나 한 소녀를 부탁한다. 놀랍게도 그 소녀는 기적적으로 임신한 상태다. 영화는 테오가 인류의 마지막 희망을 ‘미래호’라는 배에 태우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여정을 담고 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서영애는 조경을 전공했고, 일하고 공부하고 가르치고 있다. 한동안 유튜브에 몰두하다 ‘로마’를 보기 위해 가입한 넷플릭스에 빠져 지내고 있다. 내일을 위해 잠을 청할 것인가 연이어 다음 편을 볼 것인가 머뭇거리기에는 자동 재생으로 넘어가는 몇 초가 너무 짧다. 멈추려면 행동해야 한다. 중독은 쉽고, 남는 건 불면이다.
커피가 만든 공간, 그 공간에 담긴 문화
졸음을 밀어내기 위해, 어색한 사람과의 대화에서 침묵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또는 여유로운 주말을 느긋하게 즐기기 위해 우리는 커피를 마신다. 19세기 후반 한국에 도입되어 약 100여 년간 우리 일상 깊숙이 스며든 커피는 기호 식품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과연 우리에게 커피란 무엇일까? 문화역서울 284(이하 문화역서울)에서 2018년 12월 21일부터 2019년 3월 3일까지 열리는 ‘커피사회’는 근현대생활 문화에 녹아든 커피 문화의 변천사를 조명하고, 우리 사회의 커피 문화를 되돌아보는 전시다. 특히 전시장의 원형인 구 서울역사가 근현대의 상징적 공간이자 커피 문화가 시작된 공적 장소(그릴, 1· 2등 대합실 티룸)라는 점이 이 전시의 의미를 더한다. 커피사회는 문화역서울 건물 전역을 활용한다. 중앙홀, 대합실, 과거 귀빈을 모시던 방뿐만 아니라 방과 방을 잇는 통로의 벽면, 중앙홀과 대합실 사이의 거대한 복도까지 커피와 관련된 아카이브를 선보이는 전시대가 되었다. 곳곳에 마련된 작은 카페에서는 입구에서 나눠 준 종이컵에 커피를 담아 마실 수 있어, 커피의 풍미를 느끼며 전시 내용을 곱씹을 수 있다. 커피의 역사 1층 중앙홀에 들어서면 시선을 압도하는 설치물이 관객을 맞이한다. 거대한 5단 케이크나 크리스마스트리를 연상하게 하는 박길종의 ‘커피, 케이크, 트리’다. 원형 전시대 위에는 오래된 원두 그라인더부터 에스프레소 전용 잔, 다양한 커피 제품의 패키지, 보온병 등 커피와 관련된 온갖 물건이 놓여 있는데, 그 개수와 물건이 풍기는 예스러움만으로도 커피의 오래된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문화역서울 2층은 경성 최초의 서양식 레스토랑 ‘그릴’이 있던 자리다. 정치, 문화·예술계의 유명 인사들이 즐겨 찾는 곳이자 사회 문화의 중심지였던 이곳에서는 근대를 주제로 한 커피를 맛볼 수 있는 ‘근대의 맛’이 진행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1호(2019년 3월호) 수록본 일부
[이달의 질문]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서울시는 1970년대 사대문 안의 폭주하는 교통량을 수용하기 위해 도로를 넓혀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기 시작했다. 당시의 광화문광장 관련 사업은 교통 광장 조성의 성격이 강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육조거리 등 역사적 공간 복원이 이슈가 되었다가, 1990년대에는 서울 올림픽 이후 광화문광장을 글로벌 도시로의 성장을 위한 상징적 광장, 국가적 상징 거리이자 서울의 중심으로 삼고자 하는 이념이 투사됐다. 2000년대에는 육조거리 경관 복원, 광화문 문화 조성 등의 사업을 통해 경관과 문화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기도 했다. 2010년대에 들어서 광화문광장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고 보행권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으로 또 한 번 재조정되려 한다. 늘 당대의 시대상이 반영되는 광화문광장은 항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으로 이슈가 되는, 우리나라의 가장 중추적인 장소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공간이 형성된 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 광화문 앞 공간은 단 한 번도 오롯이 백성과 시민을 위한 공간이었던 적이 없었다. 마음껏 이용하고 누릴 수 있는 장소가 아니었다. 항상 누군가에게 이용당하고, 감시당하고, 변화를 강요당하기만 했던 곳. 이제는 그 본연의 모습과 존재의 이유를 아무도 모르게 되어버린, 어찌 보면 계속 버려지고 지워지고만 있는 장소이자 유산이다. 염인석 UDI 도시디자인그룹 소장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어렵다지만, 어쩌면 유에서 새로운 유를 창조하는 것이 더 어려운 일인지도 모르겠다. ‘멀쩡한 광장을 왜 바꾸려 하냐’는 의견도 분분하다. 하지만 우리는 계속 더 나은 무언가를 찾아 오지 않았나. 도시는 멈춰 있지 않다. 또한 멈춰 있는 것만이 역사가 아니라 새로운 것 역시 역사가 된다. 도시 공간은 우리의 삶을 반영하고 우리는 공간의 영향을 받는다. 모든 설계안은 광장과 국민의 더 나은 상호 작용을 추구했다. 광화문광장이 서울의 랜드마크이자 중요한 사건들의 결집체인 만큼, 지금 당장은 이에 대한 이견도 불협화음도 많아 보이지만, 이목이 집중되는 모든 일은 항상 그래왔다. 광장에 대한 높은 관심이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지 않을까, 긍정적인 기대를 해본다. 박세희 한국토지주택공사 지금의 광장도 충분히 넓다. 현재 서울에는 동네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며 쉴 수 있는 마을 광장이 좀 더 필요하다. 커다란 공간보다는 아이들이 안전하고 이웃 간 소통할 수 있는 작고 개방된 공간. 쌓고, 헐고, 넓히는 보여주기식 광장은 이제 그만 만들어도 되지 않을까. 추연태 아이모노디자인 대표 접근하기 어렵고 자동차 소음으로 오랫동안 머물 수 없었던 경험을 생각하면, 광화문광장이 바뀔 기회가 일찍 온 것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국가적 랜드마크 중 하나이며 소통을 상징하는 국가 광장이 단 한 번의 설계공모로 결정된 점은 아쉽다. 기존 광화문광장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답을 찾는 시간이 부족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기본 계획 단계에서 진행한 사례 분석을 국민들과 함께 논의해보면 어땠을까. 사람들이 경험한 광화문광장과 다른 나라의 광장을 비교해보는 등 소통 과정이 따랐다면 함께하는 의미를 가진 광장을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박종환 서울시 영등포구 멋지고 훌륭한 설계다. 같은 조경가로서 자부심을 뽐내고 싶다. 하지만 소수의 경외심보다 많은 사람의 소확행을 위한, 좀 더 착한 대안이 나오길 기대해 본다. 울타리 밖으로 나온 조경은 그럴 필요가 있지 않을까. 천재욱 현대엔지니어링 부장 차로를 없애고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 정용환 처음 당선안을 보았을 때, 도로 한가운데에 있어 안정감을 주지 못하던 기존의 광장보다 훨씬 편한 마음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감이 일었다. 하지만 광화문이라는 공간의 상징성에 비해 이번 프로젝트는 진행 과정에서 의견 수렴을 충분히 하지 않은 점이 아쉽다. 국가 상징 축의 새로운 변화를 만드는 프로젝트라면, 몇 번의토론회를 여는 것보다 시민들이 광화문의 변화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볼 시간을 주는 게 더 중요하다. 당선안을 보면 육조거리 복원을 통한 국가 상징 축의 완성이 강조되는데, 근현대 서울의 100년보다 조선 시대가 부각되는 점이 아쉬웠다. 앞으로의 진행 과정에서는 근현대 서울의 장소성을 어떻게 살릴지 더 깊이 논의했으면 한다. 박선양 서울시 서대문구 어린 시절 집 근처 한 아파트의 이름은 ‘○○광장’이었다. 유난히 그 아파트 놀이터에 많이 가게 되었는데, 우연인지 필연인지 그게 내 첫 광장이 되었다. 광화문광장이 그 기억의 파편의 아주 작은 한 부분과 닮았다면, 다른 곳에서는 고함과 투정이었을 소음들이 문화와 놀이, 그리고 선언으로 읽힌다는 뜻일 테다. 끊임없는 역사 속에서 이미 광화문광장의 문화는 형성되었다. 이를 잘 연결한다면 경관은 당연히 따라오게 되지 않을까. 당선된 설계안에 녹아 있는 소통과 연결이 근사한 ‘포스트 광화문광장’을 선사해주기를 바란다. 신동훈 환경과조경
[편집자의 서재] 쓰기의 말들
흥겨운 비트의 음악이 흘러나오면 마음이 거품처럼 부풀어 오른다. 기꺼이 리듬에 몸을 맡길 수 있으면 좋으련만 아쉽게도 그럴 수 없다. 곤혹스럽다. 쿵쿵대는 박자에 맞춰 요란하게 팔다리를 놀리고 싶지만, 이를 따랐다간 요상한 정체불명의 동작을 구사할 게 뻔하다. 이럴 때는 내적 댄스를 즐기는 것으로 만족한다. 추고 싶은 춤을 마음껏 상상하면서. 내적 댄스 본능을 자극하는 곡처럼 ‘내적 글쓰기’를 유발하는 순간들이 있다. 쓰린 일들이 마음을 사정없이 할퀼 때, 소위 말하는 인생 영화를 만나 먹먹한 마음으로 엔딩 크레디트를 바라볼 때 같은. 개인적으로는 남이 잘 빚은 글을 읽을 때 쓰고 싶은 충동이 빈번하게 인다. 읽는 속도를 늦추고 단어 하나하나를 곱씹게 만드는 보석 같은 문장 앞에 서면 글쓴이에 대한 시기와 질투도 잠시,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하나의 주제를 헤쳐서 나의 언어로 다시 빚어내고, 내가 느낀 감정의 근원과 빛나는 순간을 기록해두고 싶다. 머릿속에서 단어가 반짝이고 쓰고 싶은 문장이 둥실 떠오른다. 물론 막상 쓰려고 하면 막막하고 귀찮아 보통은 생각에 그치고 말지만. 『쓰기의 말들』은 글쓰기에 관한 책이지만 쓰는 방법보다 쓰고 싶게 만드는 문장으로 채워져 있다. 저자 은유는 치열한 읽기를 통해 쓰는 자리로 나아간 작가다. 그가 수집한 옥석 같은 문장을 보다 보면 나의 말과 언어가 얼마나 남의 생각으로 오염되어 있는지, 사소한 감정과 일상에 얼마나 무심했는지를 깨닫는다. “글을 쓴다는 것은 나를 나 아닌 실험장으로 만드는 일이다.”(잉게보르그 바하만) 쓰기를 통해 또 다른 나를 일궈낼 수 있을 것 같다. “작가의 임무는 평범한 사람들을 살아 있게 만들고, 우리가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나탈리 골드버그) 작가는 아니지만 글의 힘을 일깨워주는 말이다. “글쓰기의 실천은 기본적으로 ‘망설임들’로 꾸며집니다.”(롤랑 바르트) 쓰지 않고 망설였던 시간, 결국 아무것도 쓰지 못했던 시간도 괜찮다는 위로를 받는다. “칼럼은 편견이다.”(김훈) 글을 통해 생각 드러내기를 주저하던 내게 용기를 불어넣는다.2 덩달아 키보드를 치는 손끝이 경쾌하게 움직인다. 머리말의 마지막 문장은 책이 추구하는 바를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 “‘쓰기의 말들’이 글쓰기로 들어가는 여러 갈래의 진입로가 되어 주길, 그리고 각자의 글이 출구가 되어 주길 바라는 마음이다.”3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를 다룬 이번 호 또한 누군가의 쓰기로 향하는 진입로가 될 수 있을까, 소심한 기대를 걸어본다. 편집부는 ‘비평’과 ‘이달의 질문’ 지면에 광화문광장에 대한 쓰기의 말들을 수집했다. 말들은 새로운 광장을 향한 기대를 담기도, 광장을 둘러싼 불같은 풍문을 아슬아슬하게 탐색하기도, 정치화된 광장을 조롱하기도, 광장에 투사된 욕망의 근원을 추적하기도 한다. 이 문장들이 누군가의 내적 글쓰기 본능을 유발할 수도 있지 않을까. 몸치 혹은 글치면 어떤가. 비트에 몸을 맡기다 보면 나같이 서툰 춤사위를 보이는 또 다른 이를 만나게 될지도. 정치 논리라는 하나의 불길로 한껏 달았다 금세 식어가는 광장을 뭉근하게 데우고, 맛 좋은 담론을 형성하고, 건강한 공론화의 장을 차릴 수 있을지도 모른다. 각주 정리 1. 은유, 『쓰기의 말들』, 유유 출판사, 2016. 2. 위의 책, p.152, 88, 110, 216. 3. 위의 책, p.19.
[CODA] 땅 밑을 걷는 사람들
고대하던 여행지에서의 첫 기념품이 우산이라니. 출발할 때만해도 온화했던 하늘이 두 시간 만에 색을 바꾸었다. 날씨가 약속과 달리 변덕을 부린 건 아니었다. 여행 시작 일주일 전부터 확인한 1월 마지막 날 오사카의 강수 확률은 줄곧 80%를 웃돌았으니까. 20%의 확률을 원망하며 입술을 비죽이는 대신 창에 묻어나는 빗방울을 보며 우산 손잡이를 단단히 고쳐 잡았다. 빗줄기와 싸워가며 커다란 캐리어를 끄는 일이 쉽지는 않을 것 같았다. 걱정과는 달리 나와 친구들은 꽤 멀끔한 모습으로 호텔 로비에 도착할 수 있었다. 듣던 대로 거리가 쓰레기 하나 없이 깨끗했던 덕분이다. 빗물에 쓸려오는 오물은커녕 예상치 못한 곳에서 튀어나와 운동화를 흠뻑 적시는 웅덩이 하나가 없었다. 오히려 우리를 괴롭힌 건 100m마다 한 번꼴로 나타난 횡단보도였다. 좀 걸을 만하면 등장하는 건널목은 다섯 걸음이면 건널 수 있을 정도로 길이가 짧은 주제에 대기 시간이 제법 길었다. 차라도 많았다면 견딜만했을 텐데, 한적한 도로를 앞에 둔 나는 몸 속 깊숙이 내재된 ‘빨리빨리’ 정신을 몇 번이고 확인해야 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 깨끗한 거리에 사람이 별로 없었다. 숙소 인근이 각종 쇼핑몰과 고층 빌딩이 몰려 있는 업무 지구였는데도 말이다. 간간이 곡예사처럼 한 손에는 우산, 한 손에는 자전거 핸들을 쥔 사람들이 빠르게 곁을 스쳐 지날 뿐, 비 오는 일본 도심의 풍경은 신카이 마코토의 애니메이션처럼 잔잔했다. 다들 고층 빌딩에 갇혀 업무에 시달리고 있구나. 텅 빈 거리의 사정을 어림짐작한 우리는어쩐지 우쭐한 기분과 짧은 휴가가 곧 끝난다는 조급함에 사로잡혀 바삐 걸음을 옮겼다. 멋대로 내린 진단이 빗나갔다는 걸 여행 삼 일 차의 저녁이 되어서야 깨달았다. 사람들은 빌딩이 아닌 땅 밑에 숨어 있었다. 타코야키 맛집을 찾겠다고 들어선 지하도, 그곳에 또 다른 일본의 도심이 있었다. 대여섯 개의 지하철 노선이 얽힌 지하도는 극악의 길 찾기 난이도를 자랑하는 부평지하상가와 겨루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 복잡했다. 긴장을 잠깐만 풀어도 출구로 인도하는 화살표가 사라지기 일쑤, 가뜩이나 방향 감각이 없는 나는 기진맥진하여 지하도를 빠져나와야 했다. 하지만 다음날에도 우리는 지상 대신 지하를 찾았다. 평소의 몇 배나 되는 에너지를 길 찾는 데 소모해야 했지만, 지하에는 걸음을 더디게 하는 횡단보도도, 목적지까지의 여정을 길게 만드는 8차선 대로도, 불쑥 끼어들어 우리를 놀라게 하던 바이커도, 내리는 비를 피해 우산을 쓸 필요도 없었다. 지하 곳곳에 숨어있는 맛집을 찾아내는 재미도 쏠쏠했다. 그런데 인제 와서야 너무 지하 도시 탐험에 몰두해있던 게 아닌가 아쉬워졌다. 뒤늦은 여행 일기를 쓰기 위해 더듬거린 기억 속에 지하의 모습이 너무 많았던 것이다. 우리나라 지하상가와 다른가 하면 또 그렇게 다를 것도 없는 지하도를 왜 그렇게도 걸었을까. 땅 밑을 누비느라 놓쳤을 미세 먼지 없이 쾌청한 하늘, 겨울인데도 따끈하게 내려오던 햇빛, 가지런히 선 주택들이 만들어내던 골목 풍경들이 새삼 아까웠다. 맹추위를 피해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는 캐나다 ‘몬트리올 언더그라운드 시티’, 태양광 집광 시스템으로 식물이 자라는 지하 공원을 조성하는 뉴욕 ‘로우라인 프로젝트’ 등 세계 각지에서 땅 밑의 새로운 도시를 실험하고 있지만, 여전히 내게 지하는 도시의 일부라기보다 잘 만든 쇼핑몰, 혹은 어설프게 지상을 흉내낸 거짓된 공간으로 다가온다. 해가 뜨고 지는 것을 볼 수 없어 시간 감각을 잃게 하는 가상 공간을 닮은 것도 같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의 수상작을 정리하며 문득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국제지명초청 설계공모’『( 환경과조경』 2017년 12월호 참조)의 당선작을 떠올렸다. 지상은 넓게 비우고 지하는 문화·예술 등의 프로그램으로 빼곡히 채운 전략이 언뜻 비슷해 보였지만, 대상지의 역사나 주변 맥락을 따져보니 같을 수 없다. 코엑스와 호텔, 업무 시설, 백화점을 주변에 둔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는 광화문광장과는 달리 항상 즐겁고 흥겨운 일이 가득한 곳일테다. 먼 훗날 또다시 촛불집회가 열린 광화문광장을 상상해본다. 결의에 찬 목소리로 가득한 땅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까. 지하 도시 역시 지상과 결을 같이 하게 될까, 아니면 계속 살아가기 위한 일상 공간으로 작동하고 있을까. 과연 광화문 광장 지하는 보행 통로를 넘어 하나의 도시가 될 수 있을까.
[PRODUCT]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캐슬형 사이딩’
뉴테크우드(NewTechWood)는 최첨단 기술력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을 고품질의 합성 목재로 만드는 기업이다. 친환경 제품의 연구·개발을 통해 환경 보호를 실천하면서 아름답고 실용적인 생활 공간을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뉴테크우드의 울트라쉴드(Ultrashield)는 다양한 색상과 천연 나무 질감, 높은 내구성을 자랑하는 합성 목재다. 별도의 도색이나 오일스테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재의 수분 흡수율이 낮아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도 변형, 변색 없이 오래도록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울트라쉴드는 데크, 사이딩, 펜스, 플로어, 플랜트 박스 등으로 제작되어 주택 정원, 테라스, 리조트, 호텔, 옥상 정원 등 다양한 공간에 이용되고 있다. 새로 출시된 ‘캐슬형 사이딩(Castellation Siding UH46)’은 성곽 형태의 요철이 특징인 울트라쉴드 외장재로, 루버 특유의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해 외부 공간과 건축물을 돋보이게 한다. 또한 요철에 의해 만들어지는 선형을 수직뿐만 아니라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혼합해 연출할 수 있다. 색상은 레드 시더와 이페, 월넛 등 세 가지이며, 향후 다양한 색상과 사이즈가 출시될 예정이다. TEL. 02-2236-4516 WEB. www.newtechwood.co.kr